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극우 본색으로 인해 한·일관계가 극으로 치닫고 가운데 아베의 강경 행보는 결국 군사력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4일(현지시간) 집권 초기 경제 문제에 집중됐던 아베의 정책 초점이 일본의 침략 역사를 부정하는 데 맞춰지고 있는 것은 군사력을 키우려는 의도로 풀이된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아베는 최근 일본의 침략 전쟁을 부인하고 각료들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정당화하는 등 2차 세계대전 당시의 일본 군국주의로 회귀하려는 듯한 모습을 보여 한국·중국 등 주변국으로부터 강한 반발을 사고 있다.
일각에서는 아베의 행보가 일본이 2차 세계대전에서 패한 이후 1946년에 공포한 헌법 9조의 개정을 위한 본격적인 움직임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평화헌법으로 불리는 일본 헌법 9조는 일본의 군대 보유와 교전권을 인정하지 않고 있어 세계대전을 일으킨 일본의 군사력 강화를 막는 역할을 하고 있다.
WSJ는 아베가 헌법 9조 개정이 한국과 중국은 물론 일본 내 진보진영의 반발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최근에는 우회 전술을 사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의 군국주의 부활 움직임에 뉴욕타임스(NYT)도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NYT는 이날 ‘일본의 불필요한 군국주의’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지난 23일 있었던 야스쿠니 신사 집단참배 문제를 예로 들며 의원들이 집단 참배한 신사는 일본이 일으킨 전쟁에 나섰다가 숨진 이들의 제사를 지내는 시설이며 이 가운데는 2차 세계대전 전범도 포함돼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번 참배 인원은 최근 가장 많았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아베 총리는 직접 참배하지는 않았지만 지난 주말 조의를 표했으며 각료들도 참배했다고 전했다. 아베 총리가 일본의 군국주의 행태를 미화해온 전력이 있다는 점도 빼놓지 않았다.
사설은 아베 총리와 자민당은 한국과 중국이 이 문제를 매우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의 군국주의 행태로 고통을 당한 두 나라가 어떻게 반응할지를 잘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국의 외교부 장관이 일본 방문을 취소했으며 중국도 공개적으로 일본을 비난하고 있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