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학인 한국농수산대학이 신입생 선발 시 수험생이나 부모의 영농규모에 비례해 점수를 주고 있어 형평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한농대는 오는 17일부터 정시모집으로 95명의 신입생을 선발한다며 수능 50%, 영농 20%, 면접 30%의 전형요소와 배점기준을 공개했다.
하지만 이 같은 배점기준은 수험자 본인이나 부모가 농사를 짓고, 그 규모가 클 수록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구조여서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이다. 특히 대부분 응시자들이 실제로 영농을 하지 않는 고등학생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결국 부모의 영농규모로 합격과 불합격이 판가름 난다. 때문에 수능성적이나 면접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더라도 ‘영농의 꿈’을 접어야 하는 응시생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게다가 수시모집 전형배점의 경우에는 교과성적 42%, 출석 28%, 영농기반 30%로 정시모집보다 영농기반이 합격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크다.
한농대는 입학금, 수업료, 기숙사 생활비 등이 모두 국고에서 지원되는 농식품부 산하 교육기관임에도 이 같은 배점을 고수하고 있어 농업계내에서도 비판을 받고 있다.
경기도 이천시에서 한우를 키우고 있는 이모씨(30)씨는 “한농대가 영농기반에 지나치게 많은 점수를 할애하고 있다”며 “영농규모에 대한 배점을 줄여 보다 다양한 신입생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한농대는 3만㎡(9075평)의 영농기반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만 1등급에 해당되는 100점을 준다.
또 졸업생 평균연봉이 6662만 원에 달한다는 대학 측 주장도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한농대 측은 지난해 졸업생 평균 연봉이 6662만원이라며 이는 100대 기업 직원연봉 5700만원, 일반농민 3015만 원보다 높은 수준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실제로 이는 졸업생 1인 연봉이 아닌 해당 졸업자가 속한 농가소득을 평균한 수치다.
이에 대해 한농대 관계자는 “영농기반 여부를 보는 것은 한농대의 경우 의무영농 기간이 있어, 이 동안 영농을 실제 할 수 있는 사람을 선발하기 위한 것”이고 “졸업생 소득은 일부 언론에서 연봉으로 표기했을 뿐 대학에서는 농가소득으로 표기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한농대는 지난 11월 15일 보도자료와 브리핑을 통해 “졸업생 농가평균 소득은 국내 매출 상위 100대 기업직원의 평균 연봉인 5700만 원보다 16% 높고, 500대 기업 대졸 신입사원 연봉(3473만원)보다는 91%나 높은 수치”라고 밝히는 등 사실상 농가 소득을 연봉 개념으로 사용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