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선에 성공한 오바마 2기 행정부는 현재 심각한 재정적자 문제해소를 위해 세제개혁 가속화, 자국산업 육성, 신재생 에너지 지원을 확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로 인해 국내 산업계 역시 희비가 엇갈린다. IT를 비롯한 R&D 기술은 청신호가 켜졌지만 자동차와 가전, 섬유업계는 향후 추이를 예의주시한다는 전략이다.
8일 코트라(KOTRA) 워싱톤 무역관과 재계에 따르면 오바마 2기 행정부의 주요 경제정책은 일자리 창출과 중산층 보호에 집중에 몰려있다. 아시아 중심의 외교 및 통상정책도 지속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국내 산업계 역시 분야별로 적잖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분석된다. 먼저 IT와 신재생 에너지, 기계류 품목은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전망이다.
오바마 행정부는 IT 산업 진흥을 위해 R&D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확대해왔다. 오바마 대통령 역시 한국의 IT산업 기술력을 높이 평가해왔다. 향후 한미 간 IT부문 파트너십이 확대될 것이라고 긍정적 전망도 이때문에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를 시작으로한 친환경 정책도 확대된다.
오바마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위한 투자세액공제제도(ITC) 연장, 소비전력의 일정부분을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의무할당제(RPS) 추진 등을 이어왔다. 2기 행정부 역시 이같은 정책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자동차와 가전, 섬유산업은 수출여건이 악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코트라는 이 부분이 국내 기업에 위협요소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2009년 취임 이후 미국내 산업육성 정책 및 수입 제재조치를 강화했다.당시 오바마는 전미 자동차 노조의 전폭적인 지지를 얻어 대통령에 당선됐다. 자연스레 GM과 포드, 크라이슬러로 이어지는 이른바 ‘미국 빅3’의 부활과 발전을 위한 보호정책을 펼쳐왔다. 때문에 현지에 공장을 설립하지 않고 완성차 수출을 계획한 글로벌 브랜드는 미국시장 확대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현대기아차의 경우 한 해 100만대를 미국에서 판매한다. 이 가운데 약 64%를 현지에서 생산하고 있고 나머지는 완성차 수출이 차지한다. 이 완성차 수출이 우려를 낳고 있는 부분이다.
한국산 냉장고나 세탁기도 마음을 놓을 수 없다. 미 상무부의 덤핑 및 상계관세 조사 착수와 관세부과 결정으로 국내산 가전제품의 수출도 직접적 타격이 예상된다.
대표적인 한미 FTA 수혜품목인 섬유류 역시 불공정무역관행 제재조치 혹은 보호무역조치의 타깃이 될 확률이 높다고 코트라는 분석했다.
코트라 관계자는 “오바마 정부는 2009년 출범 이후 자국산업 보호정책을 꾸준히 지속해왔다”며 “자동차와 가전, 섬유업계의 경우 현재의 기조를 유지하면서 미 행정부의 경제정책에 민감하게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