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태양광 시장인 독일은 지난 7월 관련 보조금을 최대 29%까지 삭감했고, 오는 2014년부터는 아예 중단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 KCC는 지난달 29일 공시를 통해 총 1788억6942만원 규모의 폴리실리콘 공급 계약이 해지됐다고 밝혔다.
KCC 관계자는 “국내외 태양광 시장의 급격한 침체로 인한 태양광 사업 포기를 이유로 칼테크세미와 엔리에너지측에서 계약 해지를 통보해 왔다”고 설명했다.
#태양광 대장주 OCI는 3분기 33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해 시장 컨센서스 889억원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특히 폴리실리콘 부문은 사상 처음으로 318억원의 분기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실적 발표 직후 우리투자증권은 20만원, 현대증권과 부국증권은 17만원으로 OCI의 목표 주가를 낮췄다.
끝없이 추락하고 있는 태양광 기업들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공급 과잉 속에 제살 갉아 먹기식 가격 경쟁이 치킨게임 양상으로 번지면서 국가나 기업 규모에 상관없이 모두가 생존 모드에 돌입한 양상이다.
폴리실리콘의 경우 가격이 세계 선두기업들의 제조원가에 근접한 상황이지만 가파른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많은 전문가들은 전방 수요업체들의 폴리실리콘 재고가 넘쳐나기 때문에 당분간 가격 약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위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당분간 태양광 제품 가격의 약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김 연구원은 “공급 과잉 상태가 지속되는 가운데 중국을 비롯한 신흥시장 수요는 꾸준하지만 선진시장 수요 감소폭이 예상을 웃돌고 있다”고 분석했다.
태양광 산업의 추락은 공급 과잉에 수요 부진, 보호무역주의에 따른 불확실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태양광 산업의 견인차 역할을 해 온 유로존이 좀처럼 위기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는 점도 큰 부담이다.
공급 과잉이 지속되면서 보호무역 강도가 심해지고 있는 점은 업황 회복의 큰 걸림돌이다.
특히 태양광 수요가 가장 빠르게 늘고 있는 미국과 중국 간의 마찰은 심각한 수준이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달 10일 중국 태양광 셀에 대해 18~250%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또 중국 정부가 태양광 제품에 대해 보조금을 지급한 데에 따라 15~16%의 상계관세도 부과키로 했다.
전세계 태양광 설치량은 올해 30~35GW 수준으로 이 가운데 미국이 4GW를 설치할 예정이다. 중국은 전세계 태양광 생산량의 63%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에 이어 유럽도 중국산 셀에 대해 제소한 상태인데, 유럽은 세계 태양광 설치량의 50%를 차지하기 때문에 유럽이 중국산 셀에 대해 관세를 부과할 경우 중국이 큰 타격을 입게 된다.
중국의 대응 역시 예사롭지 않다. 자국산 태양광 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착수한 유럽연합(EU)에 대해 같은 방법으로 보복에 나서면서 사태는 격화되는 양상이다.
지난 1일 중국 상무부는 웹사이트 성명을 통해 유럽에서 들어오는 태양광 제품에 대해 반덤핑 및 반보조금 조사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곽진희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관세 부과 결정과 유럽의 제소에 따라 태양광 산업에 대한 투자 심리는 더 얼어붙고 있다”며 “태양광 업체에 대해 보수적 투자 의견을 유지한다”고 덧붙였다.
곽 연구원은 “중단기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되지만 장기적 관점에선 중국의 한계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이 가시화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