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칠곡군 왜관지역 소재 미군기지 '캠프캐럴' 인근 주민은 고엽제 영향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는 지난해 고엽제 의혹이 제기된 이 지역 주민들에 대한 건강영향조사를 실시한 결과 고엽제와 관련된 피해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20일 밝혔다.
건강영향조사는 지난해 9월부터 최근까지 왜관지역 8개리 주민 5320명에 대한 설문조사와 표본추출로 선정된 1033명에 대한 문진ㆍ임상검사로 진행됐다.
1차로 진행된 설문조사에서는 지하수를 오래 마시고 거주 기간이 길수록 암ㆍ고혈압ㆍ천식 등 일부 질환의 진단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2차 정밀조사에서는 설문조사와 달리 지하수 섭취, 거주기간과 질환 사이의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다이옥신과 각종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 43개 물질의 혈액ㆍ소변 중 농도 측정에서도 주민들이 고엽제에 노출돼 건강이 나빠진 근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다이옥신류와 유기염소계 농약류의 혈중 농도는 국내 다른 지역 주민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또한 고엽제에 포함된 다이옥신은 검출되지 않았다.
고엽제 노출과 관련된 55개 질환에 대한 왜관지역의 의료이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다른 지역에 비해 특이하게 많은 질환도 없었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왜관 지역 주민이 고엽제에 노출됐거나 건강에 영향을 받은 사실이 없다고 결론지었다.
한ㆍ미 공동조사단은 작년 12월 토양 시추와 시료 분석을 통해 캠프캐럴의 땅 속에서 고엽제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앞서 발표한 바 있다.
반면 시민단체는 여전히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다. 왜관미군기지고엽제매립범죄진상규명대구경북대책위원회는 20일 성명을 통해 "이번 조사의 결과를 캠프캐럴 내 고엽제 매립 여부의 증거로 활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주민 80% 이상이 참여한 1차 설문조사 결과에서 거주기간이 10년 이상인 주민이 '암, 고혈압, 천식'의 진단율이 유의하게 높았다"며 "분석결과를 봐도 왜관지역 여성의 '위암', 남성의 '기타 암' 발생률이 유의하게 높았다"고 지적했다.
대책위는 또 "이번 조사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고엽제 매립과 관련된 주민의 다이옥신 노출을 확인하지 못했으나 지역 내 어떤 오염원이 지하수를 통해 건강상에 영향을 줬을 가능성은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