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 있는 복지관에서 근무 중인 사회복지사 김미화(가명, 29)씨는 5년을 일했지만 지금의 월급이 1년차 때 월급보다 10만원 많다.
“보건복지부 아래 법인에서 일해야만 경력으로 인정받지 민간 시설에서 일한 것은 경력으로 인정받지 못합니다. 복지부에서 내려오는 지원금으로 운영하다보니 돈은 늘 부족하고 후원금을 따오라는 압박 때문에 사업계획서를 만들어야 하는 등 스트레스가 심합니다.”
김 씨는 보통 3년차가 되기 전에 버티지 못하고 그만두는 사회복지사들이 많고 ‘대부분 사회복지사는 여자, 남자들의 기피직종’, ‘사회복지사끼리 결혼하면 기초생활수급자’라는 인식이 팽배해 있다고 말했다.
7일은 올해 13회째를 맞는 사회복지의 날이다. 평균수명이 증가하면서 사회복지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지만 대한민국의 손길이 닿지 않는 곳을 만져주는 사회복지사들은 저임금 등 열악한 처우, 높은 이직률의 악순환에 놓여있다.
사회복지사의 처우개선을 위해서 지역별로 천차만별인 사회복지 예산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운영비, 인건비 등이 부족한 복지관이 사회복지사들에게 후원금을 유치하라는 압박을 가하기 때문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펴낸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지출 현황과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초지방자치단체별로 1명당 사회복지 예산이 437만원인 곳이 있는 반면 이보다 3배 가량 적은 146만원에 그친 곳도 있었다.
보건복지부는 사회복지사의 보수수준 및 지급 실태를 조사하고 중장기적 처우개선을 목표로 추진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사회복지사 양성과정에 대한 통제 없이 처우를 주장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