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헌금은 여당인 새누리당 뿐 아니라 야당에서도 뿌리 깊게 자리 잡아 온 일종의 ‘관행’이었다. 그동안 정치권에선 ‘특별당비’ 명목으로 적게는 수억원에서 많게는 수십억원까지 출마자로부터 돈을 받아왔다는 게 정당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새누리당에서 오래 생활한 한 당직자에 따르면 비례대표 후보들은 특별당비를 당에 내고, 이와 별개로 공천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특정 계파나 정치집단, 개인 등에 상납해 왔다고 한다. 한나라당 시절 당 대표 보좌관을 지낸 한 인사는 “공천헌금은 적게는 3억원에서 5억원, 많게는 50억원까지 받아 왔다는 게 정설”이라고 했다.
또 ‘깃발만 꽂으면 당선’이라는 인식이 강한 정당별 텃밭 지역에선 지역구 공천에서도 거액의 돈이 오가는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통합당 관계자는 “지금 나오는 내용은 과거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라며 “검찰이 마음먹고 수사를 하면 굴비처럼 줄줄이 나올 것”이라고 했다.
이런 구태는 각 당의 공천을 심사하는 공천심사 기구가 아직도 독립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공천헌금 의혹에 관여된 것으로 의심 받는 사람 대부분이 새누리당 최대 계파인 친박(친박근혜)계라는 점도 그 증거다. 당내 다수를 차지하는 계파에 의해 공천위원들이 결정되고, 위원들을 통해 압력을 행사하는 구조가 개선되지 않는 한 선거 출마자들이 실세에 돈을 가져다 바치는 행위는 계속될 수밖에 없다.
공천위원들의 독립적 심사가 보장되지 않은 상황에서 “공천이 공평했다”는 건 당 지도부의 자아도취일 뿐이다. 새누리당에선 후원금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했지만, 이것 만으로 불법공천을 막을 수는 없다. 공천의 객관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공천시스템 전반에 대한 개혁이 불가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