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차리는 차례상이지만 차릴 때마다 여간 헷갈리는 게 아니다. 이러다가 조상님들이 화내시는 건 아닐까. 집안마다 조금씩 차이가 나지만 공통되는 차례상의 기본원칙을 알아본다.
먼저 차례상은 북쪽에 두고 전체 상차림은 다섯줄로 이뤄진다. 설날 차례상에는 밥 대신 떡국을 올리고 신위를 북쪽에 두는 특징이 있다.
차례상 첫번째 줄에는 술잔과 떡국을 놓는다. 북쪽을 신위를 기준으로 떡국은 왼쪽, 술잔은 오른쪽에 차린다. 시접(수저와 대접)은 중간 부분에 올린다.
두 번째 줄에는 ‘어동육서(魚東肉西·생선은 동쪽, 육류는 서쪽)’ 원칙에 따라 적과 전을 놓는다. 앞에서 봤을 때 왼쪽부터 육적(육류 적), 어적(어패류 적), 소적(두부, 채소류, 적) 순서로 올린다. 이때 생선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왼쪽으로 가게 둔다. 세 번째 줄에는 탕을 놓는다. 왼쪽부터 육탕(고기탕), 소탕(두부, 채소류탕), 어탕(어류탕) 순이다.
네 번째 줄은 ‘좌포우혜(左脯右醯·포는 왼쪽, 젓갈류는 오른쪽)’원칙이 적용되는 반찬을 놓는 줄이다. 상 왼쪽 끝에는 포(북어, 대구, 오징어포)를 놓고 나물, 간장, 김치 순으로 올리고 오른쪽 끝에는 식혜(수정과)를 둔다. 이 중 김치는 희게 담근 나박김치만을 올린다. 깨끗하고 맑은 음식을 올리는 것이 조상에 대한 예의라고 여겨진다.
다섯 번째에는 과일을 반드시 홀수로 올린다. ‘홍동백서(紅東白西)’에 따라 붉은 과일은 오른쪽인 동쪽에 두고,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 또 ‘조율이시(棗栗梨枾)’란 말그대로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감 순으로 올린다.
상을 차릴 때는 시접과 잔반을 먼저 올리고, 향로와 향은 제상 앞에 마련한 작은 상 위에 올려놓는다. 상아래에는 퇴주그릇과 모사잔을 놓는다.
차례상을 차릴 때 유의할 점은 삼치, 갈치, 꽁치 등 끝에 ‘치’자가 붙는 생선은 쓰지 않는다는 것이다. 과일 중 복숭아도 안 된다. 또 고춧가루와 마늘양념을 하지 않아야 한다. 국물 있는 음식은 건더기만 쓰고, 붉은 팥 대신 흰고물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