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국제결제은행(BIS)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주요 24개국에 대한 우리나라 은행들의 외화부채(익스포저) 중 유럽계 자금은 53.6%를 차지했다.
전체 3494억6700만달러 중에서 1872억5800만달러가 유럽국가 자금이었다. 국가별로는 영국(1004억8000만달러)을 비롯해 프랑스(325억8900만달러), 독일(199억5000만달러), 스위스(178억6000만달러), 네덜란드(119억5400만달러) 등 순으로 우리나라 은행들의 외화부채를 많이 보유했다.
유럽에 자금이 몰린 만큼 재정위기가 심화할 경우 국내에서 대규모 자금 이탈이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은행권의 자금난을 겪을 경우 그 파급효과는 가늠할 수 없다. 은행 부실→기업 자금 조달 난항→경기 침체 등 악순환의 고리가 발생할 수 있다. ‘모든 위기는 외환에서 시작한다’는 속설이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실제 지난 8~9월 유로존 재정위기가 심화할 경우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유럽계 자금이 대규모로 이탈하면서 증시가 급등하며 국내 금융시장이 요동쳤다.
서정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유럽쪽의 재정위기가 심화한다면 은행의 자금 포트폴리오 구성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이는 은행의 신용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더군다나 유로존에 국한했던 위기는 헝가리 등 동유럽 등에 확산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오스트리아는 최근 동유럽 지역에 대출을 제한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위기국가 뿐 아니라 신용등급 ‘AAA’ 국가도 자국의 신용등급 유지를 위해 해외 유동성 긴축에 나설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만일의 경우수를 고려해 차입다변화에 나서야 한다는 분석이다.
금융당국도 이 같은 견해가 공감하고 있다. 금융당국의 고위 관계자는 “유럽계 자금은 대부분 만기가 정해져 있어 일시에 대규모 자금이 빠지는 구조는 아니다”면서도 “차입선 다변화 차원에서 유럽 재정위기가 불거진 이후 비중을 다소 줄이도록 금융사들을 지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이슬람채권(수쿠크)에 세제 혜택을 주는 방안도 은행의 외화차입선 다변화를 위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