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목표주가 상향조정이 기업주가에 독(毒)이 되고 있다. 개별 호재에 힘입어 상향곡선을 그리던 종목들이 목표주가만 올려잡으면 되레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시장에서는 사정정보가 유출된것이 아니냐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20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7~9월 국내 증권사가 유가증권 및 코스닥 상장사에 대해 목표주가를 높인 235건(중복 포함)이다. 이 가운데 10거래일 이내 주가가 내린 종목은 148건(63%)에 달했다. 5개 중 3개 기업은 증권사 목표주가 상향조정이 오히려 독이 된 셈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증권사 목표가 상향조정 정보가 기관쪽에 사전에 유출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한다.
애널리스트가 기업탐방 결과나 기업 내부 정보를 펀드매니저에게 먼저 흘려주면 매니저는 이 정보를 이용해 해당 종목을 미리 매수하고 분석 보고서가 나와 주가가 오르면 그때 주식을 처분해 차익을 얻는다는 설명이다.
이들은 설명회와 기업탐방 동행, 전화콜 서비스 등을 통해 수시로 접촉하면서 의견을 나누기 때문에 사전에 정보가 유출될 개연성은 매우 높다.
증권사의 한 애널리스트는 “매니저가 탐방 기업에 대한 일반 정보 뿐만아니라 보고서 발표 날짜와 목표주가 상향조정 여부까지 물어보는 경우가 있다”라며 “증권사에게 ‘갑(甲)’에 위치해 있는 펀드매니저가 관련 사항에 대해 직접 물어보면 답을 피하기가 곤란하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같은 애널리스트-펀드내미저 간 ‘검은 공생’으로 인해 기업은 물론 개인투자자들에게도 큰 피해를 입히고 있단 사실이다.
이에 금융당국은 불공정 거래 동향을 주시하며 개선책을 모색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고위 관계자는 “미공개 정보 이용에 대한 근원적인 차단이 필요하다”며 “거래형태를 보면 사전에 정보를 받아서 불공정 거래를 했는지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는데 관련 의혹을 사전에 차단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