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구제역 가축 매몰지 인근 관정 가운데 상당수의 지하수에서 기준치 이상의 오염물질이 검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가 구제역 위기 경보단계를 '심각'에서 '경계'로 내리고 구제역 대책을 총괄하고 있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도 해산할 예정이지만 매몰지발(發) 환경오염 우려는 쉽게 가시지 않을 전망이다.
29일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전국 가축 매몰지 주변 300m 이내에 있는 3000개 관정의 지하수 수질검사를 벌여 1차 분석한 결과, 143곳에서 음용수 수질 기준 이상의 오염물질이 검출됐다.
환경부는 이에 따라 지하수가 오염된 이들 관정에 대해서는 주민들이 이용하지 말도록 수질검사 결과를 통보하고, 추가적인 현장 조사와 정밀 조사를 벌였다.
이들 관정이 오염됐다는 것은 지하수 오염 분석에서 기준으로 삼고 있는 질산성 질소, 암모니아성 질소, 염소이온, 대장균군 등 4개 항목 중 2개 이상 분석치가 동시에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환경부 가축 매몰지 환경관리지침에 따른 것이다.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1차 분석에서 기준치를 넘은 관정이 상당수 파악돼 침출수로 인한 것인지, 아니면 기존 축사에서 나온 폐수로 인한 것인지를 정밀 분석했다"며 "침출수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산폐수나 화학비료에 의한 오염인 것으로 추정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침출수로 인한 오염 여부 판단이 쉽지 않은데다 검사기법 자체에 대한 논란도 일고 있어 매몰지 수질 오염 우려를 얼마나 줄여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유승호 박사팀은 최근 환경부가 쓰고 있는 기법이 아닌 새로운 기법(가축사체 유래물질과 총유기탄소 기준)을 개발,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모전리의 매몰지 주변 지하수를 분석해 침출수로 인한 오염으로 판단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보완이 필요한 '간이 검증법'이라며 침출수 오염은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하지만 유승호 박사는 "기존 방식(환경관리지침)으로는 오염원이 침출수인지 축사 오폐수로 인한 것인지를 판별할 수 없어 환경부 용역을 받아 새 기법을 개발했다"면서 "검증 절차를 거쳐 학회에도 공식 보고된 검사기법"이라고 말했다.
환경부는 이처럼 검사기법 논란이 일자 내부 검토 절차를 밟으면서 '곧 발표할 예정'이라던 관정 수질 조사 결과를 이날 저녁 서둘러 발표했다.
원자력연구원은 이에 앞선 지난 24일 유 박사팀이 매몰지 침출수 유출 여부를 단시간에 정확히 판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