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시장에서는 KB, 하나금융, SK. 한화 등 '단골' 매수 후보자들은 물론 삼성증권,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등이 매수주체로 나설 수 있다는 시나리오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모기업 도움에 상대적으로 자금 여력이 풍부한 HMC투자증권과 하이투자증권도 물망에 오르고 있다. 지금까지 가장 설득력을 얻고 있는 곳은 산은지주 계열사인 대우증권이다.
최근 산업계 및 금융권을 중심으로 구조조정이 가속화 되고 있는 상황에서 증권사들의 '새판짜기'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당면과제다.
시장에서는 금융위기 극복 과정에서 증권사들이 자율경쟁을 통해 대형화를 이룰 것으로 기대했지만 회사는 오히려 더 늘어났고 '난립' 수준으로까지 변질되고 있다. 증시 조정때 마다 수익구조가 불안한 중소형 증권사들을 중심으로 온갖 루머가 나돌며 업계 재편 기대감을 높였지만 그때마다 '설'에 그쳤고 한국판 '골드만삭스의 꿈'은 더욱 멀어져갔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증권업이 자본시장법 최대 수혜를 받을 것이란 기대감은 점점 멀어져가고 있으며 2년이 지나도록 이렇다 할 성과조차 없는 실정이다.
금융당국은 이같은 상황을 초래 한 가장 기본적인 책임은 자신들에게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지난 2007년 11월, 금융당국은 증권사 간 경쟁 촉진과 대형화를 통해 국내 증권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방편으로 ‘증권업 허가 정책 운용 방향’을 확정하고 신규 증권사 허가 조건을 제시했다.
그러나 당시 허가정책은 발표 초기부터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꾸준히 제기됐었다. 증권사 몸값을 낮춰 M&A를 활성화 시키겠다는 당초의 계획과는 달리 대부분 중소형 증권사들은 M&A의 필요성에 대해 안일한 입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현재도 중소형 증권사들이 특화 전략을 모색하며 생존 방안을 모색하고 있어 자의로 매각 시장에 나올리는 만무하다.
물론 사업 특성을 감안하지 않고 돈이 되는 시장이니 발만 담궈보자는 식의 산업계와 일부 은행권들의 안일한 사고가 상황을 악화시킨 점은 있지만 어찌됐든 물꼬를 터준 것은 금융당국이다. 당국의 자성이 선행돼야 함을 역설하는 대목이다.
금융위기가 진정되면서 미국을 비롯한 세계 유수의 IB들이 인력 확충 및 해외진출 등을 실시하며 재기를 노리고 있다. 우리나라도 '금융빅뱅'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미 시장의 자율이 실패한 상황에서 정부의 손길은 불가피하다. 문제는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정부는 업계 및 학계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더욱더 많은 사례들을 분석하고 시장의 충격이 최소화 되는 선에서 합리적인 방안을 강구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