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가격 버블론이 대두되고 있지만 국내 실물경기가 회복된다면 주택 가격 급락하지 않고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이용만 한성대학교 교수는 12일 주택금융공사(HF)가 개최한 '주택금융전문가협의회'에서 '주택가격 적정성 논란 및 향후 변화요인'이란 주제 발표를 통해 "집값은 결국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인구구조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만 소득수준과 인구 1000명당 주택 수, 1주택 다가구 상존, 가구변화 요인 등을 고려할 때 주택가격이 급락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교수는 "단기적으로 보금자리주택 공급과 미분양 적체, 금융규제 등으로 가격이 좀 더 조정 받겠으나 실물경기와 주식시장이 견고한 회복세를 보이면 다시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며 "지역별 수급 불균형 때문에 차별화가 나타나고 비수도권의 경우 재고조정으로 가격의 하향 조정압력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또 "우리나라의 소득대비 주택가격비율(PIR)은 2008년 기준 전국 6.3배, 서울 12.6배로 나타나고 있는데 지역별 주택소유자의 연소득자료를 사용할 경우 실제비율은 이와 상당히 다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주택가격지수와 물가지수의 괴리가 크고, 실질주택가격지수의 장기평균보다 현재 수준이 높다는 주장에 대해 분석의 기준시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고 지적했다.
그는 금융위기 이후 한국은 가격조정이 없다는 주장에 대해서 미국의 '케이스&쉴러(Case & Shiller)' 지수처럼 우리나라도 실거래가격기준으로 할 경우 최고점(2008년 7월) 대비 최저점(2009년 1월)을 비교하면 전국 8.45%, 서울 18.86%, 강남구는 21.71%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설명이다.
이 교수는 또 "OECD 16개국의 평균적인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비율이 1995년 100%에서 2007년에는 170%로 상승했다"며 "노르웨이, 아일랜드, 네덜란드, 덴마크는 200%를 상회한 점을 감안하면 국내 가계부채 문제가 확대 해석된 측면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취업자 중 자영업자의 비중이 높아 경기불황 때에도 가계부채가 잘 줄지 않는 구조적 특성이 존재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