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씨가 수도권이 아닌 대전에서 창업한 이유는 산업단지 내 유휴 부지를 저렴하게 매입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은퇴 창업자에 대한 재정 지원 프로그램이 없어 창업 과정에서 어려움이 컸다"며 "공공 부문에서 창업에 나서는 시니어 퇴직자의 자금 조달을 지원해 준다면 더 많은 창업이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40대 이상 시니어의 기술창업 비중이 매년 증가하는 가운데, 지역 내 시니어 기술창업 지원을 확대해 양질의 일자리를 늘리고 지역 산업 생태계의 부가가치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13일 '베이비부머의 지역 내 고부가가치 창업 활성화 방안 연구'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기술창업은 기술을 기반으로 한 제조업과 지식기반서비스업(정보통신, 전문·과학·기술, 교육 서비스, 보건·사회복지 등) 창업을 뜻한다.
대한상의가 2016~2023년 국내 창업 활동 추이를 분석한 결과, 40대의 기술창업 비중은 8년간 3.0%포인트(p), 50대와 60세 이상은 각각 3.8%p, 2.5%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20대는 0.9%p 증가했고, 30대는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보고서는 과거에 비해 학력 수준과 전문성이 높아진 2차 베이비부머 세대(1964~1974년생)가 그동안 업계에서 쌓은 기술과 네트워크를 활용해 고부가가치 창업에 나선다고 해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21년 기준 40세 이상 50세 미만의 고등교육 이수 비율은 45.6%로 OECD 평균(35.6%)을 크게 상회하며 10위를 기록했다. 통계청 조사를 보면 2차 베이비부머 중 관리자, 전문가, 사무종사자, 기능·기계조작직 등 전문일자리로 분류되는 직업군에 종사하는 비율은 60.6%로, 1차 베이비부머(1954~1963년생)의 51.4%에 비해 높았다.
또한 수도권에서의 기술창업이 비수도권보다 더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의 기술창업은 2016년 11만254개에서 2023년 13만5042개로 22.5% 증가한 반면 비수도권은 같은 기간 8만420개에서 8만6394개로 7.4% 증가하는 데 그쳤다.
보고서는 시니어층의 기술창업을 위한 재정적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리나라는 '중장년기술창업센터'를 설립해 만 40세 이상의 기술창업을 지원하고 있지만 예산 규모가 2021년 42억 원에서 2024년 약 33억 원으로 축소되는 추세다. 아울러 창업에 나선 시니어층에 저리융자, 무담보 보증을 지원하는 일본과 같이 우리나라도 시니어층의 신용 제약을 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니어층의 경험·기술 활용을 돕는 교육서비스 강화, 지역 대학·기업과 연계한 공동 연구개발(R&D)과 컨설팅 등의 지원 사업 등도 제안했다.
조성환 대한상의 지역경제팀장은 "고령사회 진입 이전에 짜여진 창업 지원 정책의 틀에서 벗어나 창업에 나서는 시니어층이 겪는 신용 제약을 완화하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협력해 지역에서의 창업 마중물 역할을 하는 정책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