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체율 3.75%…상호금융권 중 가장 높아
지난해 역대급 실적을 달성했던 신용협동조합이 올해 1분기부터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십여 년 간 흑자를 달성하며 승승장구 했지만 1분기 적자로 돌아선 것이다. 급등한 기준금리와 작년에 적극적으로 고금리 장사를 한 것이 부메랑이 됐다는 분석이다.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대출을 크게 늘린 영향으로 연체율까지 급등해 하반기 건전성 관리에도 비상이 걸린 상태다.
22일 금융당국 및 신협에 따르면 신협은 올해 3월말 기준 738억 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신협 관계자는 “고금리와 이자비용 상승으로 상반기 실적 악화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신협은 지난해 5706억 원의 순익을 달성하며 최고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이미 2019년부터 실적은 고공행진을 이어왔다. 2019년 3719억 원의 순익을 낸 데 이어 △2020년 3831억 원 △2021년 5154억 원 등이었다.
올해 실적이 고꾸라진 데에는 고금리로 인한 이자비용의 증가가 원인으로 꼽힌다. 신협의 이자비용은 지난해 2조5060억 원으로 사상 처음으로 2조 원대를 넘겼다.
실적에 빨간 불이 켜진 가운데 뛰어오른 연체율은 또 다른 걱정거리다. 김희곤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상호금융권 총연체 및 연체율 추이’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상호금융(신협·농협·수협·산림조합)의 연체율은 2.42%로 집계됐다. 신협 연체율은 3.75%로 △농협(1.93%) △수협(3.06%) △산림(3.13%) 중 가장 높았다.
금감원이 신협 단위조합 7곳을 대상으로 현장 점검에 착수한 것도 이 때문이다. 연체율이 갑자기 상승하면서 부실채권에 대한 관리, 감독을 통해 건전성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는 판단에서다. 신협중앙회도 54곳의 조합에 대해 개별 점검을 하는 등 금융당국과 공동으로 부실 관리에 나서며 경영정상화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는 모습이다.
신협 관계자는 “상호금융업 중 연체율이 유독 높은 이유를 면밀히 파악 중”이라면서 “하반기에는 리스크 관리와 예대마진 관리를 바탕으로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전일 금융위원회는 정례회의를 열고 신협과 ‘경영정상화 이행약정(MOU)’해지를 위한 상호금융업감독규정 개정안을 의결했다. 신협이 공적 자금을 조기 상환한 후 정부와의 MOU를 해지해도 해당 계획을 지속해서 이행하도록 하는 개정안을 통과시킨 것이다. 금융당국 차원에서 구체적인 개정안이 논의되는 만큼 신협의 경영 자율권 확보가 임박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연체율 상승과 실적 악화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금융당국은 신협과의 MOU 해지와 관련해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정부 차원에서 상호금융권에 대한 관리가 꾸준히 필요한 상황인 만큼 금감원과 검토 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