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재생에너지 활용 높여 에너지 전환 감축목표는 44.4%에서 45.9%로
2030년까지 산업계가 줄여야 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치가 현실화했다. 원료수급, 기술전망 등 현실적인 국내 여건을 고려해 감축 목표를 완화함에 따라 기업의 부담이 크게 줄었다. 반면 원자력발전 활용을 높이는 등 청정에너지 전환 가속화로 에너지 전환 부문에서의 감축 목표치가 늘어 전체 배출량 '40% 감축' 목표는 그대로 유지했다.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와 정부는 21일 2018년 대비 2030년 탄소 배출량을 40% 줄이겠다는 계획을 담은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2023∼2042년) 정부안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온실가스 감축 관련 윤석열 정부의 첫 로드맵이다.
앞서 문재인 정부는 2021년 10월 관련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번 계획은 탄소 배출량 합계를 40% 줄이는 것은 문 정부와 같이 그대로 유지했다. 다만 부문별 감축 목표가 일부 조정된 점이 특징이다.
가장 눈에 띄는 점은 과도한 목표로 부담을 느끼던 기업에 숨통을 터줬다는 점이다.
탄녹위는 산업 부문에서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2억3070만 톤(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2018년 대비 11.4% 줄이기로 했다.
이는 기존에 2억2260만 톤으로 2018년 대비 14.5% 줄이라는 2021년 목표보다 3.1%포인트(P) 완화된 것이다.
탄녹위는 "원료 수급, 기술 전망 등 현실적인 국내 여건을 고려해 목표를 완화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에너지 '전환' 부문은 감축 목표가 2018년 대비 44.4%에서 45.9%로 1.5%P 상향됐다.
탄녹위는 2030년까지 원자력 발전 비중은 32.4%, 신재생 에너지 비중은 21.6%+α로 올린다는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반영했으며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수립할 때도 이들 발전 비중이 커질 수 있는 점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탄녹위는 "석탄 발전 감축과 원전, 재생에너지 발전을 확대하는 등 청정에너지 전환을 가속하겠다"라며 "시장원리에 기반한 합리적인 에너지 요금 체계를 마련에 수요 효율화를 추진할 것"이라며 에너지 요금 인상을 시사했다.
수송 부문은 전기·수소차 보급 확산, 전기 열차 전환, 무탄소 선박 핵심기술 확보 등 이동 수단의 저탄소화를 통해 2021년 목표치와 같은 6100만 톤으로 유지했다.
전기차 등 친환경 상품에 쓰이지만 생산 과정에서 탄소를 발생시키는 수소 부문의 경우 2021년 목표치 7600만 톤에서 8400만 톤 배출로 목표치를 낮췄다.
탄소를 흡수·제거하는 방법인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부문은 국내 탄소저장소 확대를 반영해 흡수 목표를 -1030만 톤에서 -1120만 톤으로 높였다.
정부는 또 기업의 탄소 감축 기술 상용화를 지원하고자 기술 혁신펀드 조성, 관련 보조·융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온실가스를 많이 감축한 기업에 온실가스 배출권을 더 주는 '배출효율기준'(BM) 할당은 확대된다. 건물 에너지 효율 향상, 육·해·공 이동 수단의 친환경화, 스마트팜 확산, 폐기물 자원효율 등급제 도입 등 부문별 저탄소 구조 전환 정책도 추진할 방침이다.
정부는 올해부터 2027년까지 5년간 탄소중립 산업 핵심기술 개발, 제로에너지·그린리모델링, 전기차·수소차 차량 보조금 등 분야에 총 89조90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탄녹위는 22일 이 같은 정부안에 대한 대국민 공청회를 열고 국내 산·학·연 전문가, 시민단체 관계자 등의 의견을 들을 예정이다. 의견수렴으로 보완된 기본계획은 탄녹위와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다음 달 최종안이 확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