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우려가 커지면서 원·달러 환율이 한 달여 만에 100원 가까이 급등한 가운데 지난해와 같은 킹달러 현상이 나타나긴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최제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2일 “작년에 경험한 3번의 원·달러 환율 상승기 모두 물가 서프라이즈와 연준의 긴축 우려가 확산하면서 미 국채금리가 급등했고, 달러화는 초강세를 보였다”며 “이는 최근 상황과도 매우 흡사해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달 초 발표된 미국의 고용보고서를 기점으로 소매판매, CPI(소비자물가지수), PPI(생산자물가지수), PCE(개인소비지출) 등이 모두 시장의 예상치를 웃돌면서 긴축 우려가 높아졌고, 환율이 빠르게 상승했다는 설명이다.
다만 최 연구원은 “올해 매크로 환경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작년과 상당히 유사한 듯하지만 다른 점도 분명히 존재한다. 지난해에는 연준의 독보적인 긴축 속도,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유로존의 에너지 위기와 침체 우려, 파운드화 폭락 등으로 달러화의 독무대가 펼쳐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올해는 중국의 리오프닝, 비교적 양호한 유로존 경제와 매파적인 유럽중앙은행(ECB), 일본은행(BOJ) 정책 기조 변화 등이 달러화의 나 홀로 강세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최근 시장에서 연준의 최종금리에 대한 눈높이가 상향 조정되고 있지만 최종금리와 6개월 국채금리 스프레드는 제한적 상승에 그치고 있다”고 했다.
원·달러 환율은 2월 매크로 지표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높은 민감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최 연구원은 “1분기 중 환율은 1250~1350원대에서 등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에는 높은 변동성을 보이겠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연준의 금리 인상이 일단락되고, 중국의 리오프닝 수혜 등으로 국내 수출경기와 교역 조건 개선이 나타나면서 하향 안정화를 시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