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영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은 11일 한은 금요강좌에 발표자로 나서 ‘기대인플레이션과 중앙은행’을 주제로 한 강연을 통해 “(중앙은행은) 누구의 기대 인플레이션을 주로 고려해야 하는가”라고 자문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기대 인플레이션은 소비·투자 및 자산가격의 결정, 실업률과 물가간 관계, 적정 기준금리 설정 등 중요한 경제적 의사결정의 핵심 변수”라면서 “통화정책은 전문가의 기대 인플레이션 형성에는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가계·기업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이다. 경제주체의 고물가 경험에 따라 물가목표 및 통화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상이하므로 정책당국이 민간과 어떻게 소통할 것인지가 중요하다”고 전했다.
이어 “중앙은행은 적절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민간의 기대인플레이션 형성 및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중앙은행 정보의 효력은 약 6개월 정도로 짧게 지속된다는 점에서 중앙은행의 메시지 전달이 단순하고 지속적일 때 효과적임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이밖에도 박 위원은 “대중의 무관심, 과거 정보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정보 경직성, 오해 가능성, 기대 인플레이션의 측정오류 등 현실적 제약이 (중앙은행의) 선제적 지침(포워드 가이던스, Forward Guidance) 효과를 반감시킬 수 있는 만큼 우리 경제환경을 고려한 인프라 구축, 소통 관련 경험의 축적 및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