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노조연대는 8일 연봉 10% 인상을 주요 골자로 한 ‘삼성연대 2022년 임금인상 및 제도개선 공동요구안’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는 삼성전자 노조가 임금협상을 두고 쟁의행위 절차를 밟고 있는 것의 연장선상으로 풀이된다.
앞서 한국노총 금속노련 산하 전국삼성전자노조는 4일 고용노동부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에 노동쟁의 조정을 신청했다.
중노위가 최대 10일간 노사 양측에 중재를 시도하는 것을 고려하면 최악의 경우 이달 중순 이후 파업에 돌입할 가능성이 크다. 중노위가 ‘조정 중지’를 결정하면 노조는 조합원 투표를 거쳐 합법적으로 파업할 수 있는 쟁의권을 확보할 수 있다.
문제는 노조가 사 측이 제시한 임금협상 최종안에 대해 조합원 투표를 했으나, 반대의견이 90%에 달하는 등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삼성전자도 임직원 대표로 구성된 노사협의회가 지난해 3월에 정한 기존 2021년도 임금인상분 외에는 추가 인상이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것으로 알려진 만큼 중노위의 조정이 성공할 가능성은 작다는 관측이 많다.
노조가 파업할 경우 삼성전자는 창사 53년 만에 첫 파업이 발생하게 된다. 삼성전자 안팎에서는 노조 측의 요구가 과도하며 가뜩이나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파업을 강행한다면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삼성전자 노조 조합원 수는 4500명 규모로 국내 삼성전자 임직원 약 11만4000명의 4% 수준이다. 이 때문에 대표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삼성전자 노조원 절반 정도는 기흥캠퍼스 등 반도체 사업부에서 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파업이 실제 이뤄질 경우 반도체 생산 공정에 악영향이 예상된다.
반도체 생산라인은 24시간 가동된다. 찰나의 오차에도 웨이퍼(반도체 원판)를 전량 폐기해야 한다. 2018년 삼성전자 평택사업장은 28분간의 정전으로 수백억 원의 피해를 입었다.
삼성전자를 둘러싼 대내외 환경이 녹록지 않은 상황에서 노조의 파업 추진은 ‘이기적인 발상’이라는 지적도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인텔을 제치고 반도체 매출 왕좌를 탈환했다. 그러나 메모리 반도체 부문 후발 업체들의 추격이 거세고, 미래 먹거리로 주력하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는 대만의 TSMC라는 큰 산을 마주하고 있다.
스마트폰도 판매량 세계 1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중국 시장 부진은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부동의 1위를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숙제다. TV 등 생활가전은 글로벌 원자재·물류가격 상승이 발목을 잡고 있다. ‘뉴삼성’의 의지를 드러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음에도 해외 출장 귀국길에 ‘위기감’을 강조한 것도 이러한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재계 관계자는 “노사는 공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인데 어느 한쪽이 무리한 요구를 하기 시작하면 결국 공멸하게 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