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액 300대 기업 81%가 ESG 사업예산과 인력을 더 늘릴 전망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매출액 상위 300대 기업의 ESG(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 담당자를 대상으로 조사(86개 사 응답)한 결과 응답 기업의 81.4%가 작년 대비 올해 ESG 사업 규모를 늘릴 것이라고 응답했다고 8일 밝혔다.
응답 기업의 18.6%는 ESG 사업 규모를 전년 수준으로 유지할 것이라 답변했고, 줄이겠다는 기업은 없었다. ESG 위원회 설치 여부에 대해서는 응답 기업의 88.4%가 설치(64%)했거나 설치할 예정(24.4%)이라고 답했다. 또한, 응답 기업의 82.6%는 ESG 전담부서를 운영하고 있거나(71.0%) 설치예정(11.6%)이라고 응답했다.
ESG 전담부서 구성원의 업무 경력 기간은 5년 이하인 기업의 비중이 93.3%에 달해 국내 기업들이 ESG 전문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한 ESG 경영 애로 요인으로는 ‘ESG에 대한 전문성 부족’(37.6%)과 ‘전문인력 미비’(10.8%)가 48.4%였다.
주요 기업들은 ESG 중 환경(67.4%)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18.6%), 지배구조(14.0%) 순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환경 분야 최우선 과제로 탄소배출량 감축(37.1%), 신재생에너지 활용(23.0%), 친환경 기술개발(13.5%) 등을 꼽았다.
사회 분야 우선 과제는 사업장 안전ㆍ보건 관리(35.6%),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22.0%), 인권경영(12.7%), 노사관계(8.3%) 순으로 나타났다.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에도 적극적이었다. 이번 조사에서도 협력사에 ESG 컨설팅 등 ESG 리스크 관리 지원을 실행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82.6%가 이미 시행하고 있거나(40.7%), 시행할 예정(41.9%)이라고 응답했다. 반면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에 대기업이 적극적으로 나서다가 자칫 갑질 논란에 휘말릴 수 있어 조심스럽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ESG 관련 비재무 정보 공시규제에 대해서는 72.1%가 ‘기업에 부담’이라고 응답했다. 기업들은 일률적인 공시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그 이유로는 ‘비재무정보 정량화가 어렵다’(42.9%), ‘공개의무항목 범위가 과도하다’(23.0%), ‘공시 전문인력이 부족하다(16.2%)’ 순으로 집계됐다.
국내 기업 ESG 경영 활성화를 위해 정부와 국회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을 묻는 말에서는 ‘감세ㆍ공제 등 세제 지원 확대’(39.3%), ‘ESG 관련 규제 완화’(26.6%), ‘자금조달 등 금융지원 확대’(17.9%) 순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