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서울시민들은 시 어느 자치구에서나 공동체 보육 서비스를 누릴 수 있다. 가까운 거리의 국공립과 민간 어린이집이 프로그램과 공간을 공유해 보육 환경이 한층 더 나아질 전망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8월부터 8개 자치구, 14개 공동체에서 시행 중인 '서울형 공유어린이집을' 시 전자치구로 확대 시행한다고 24일 밝혔다.
서울형 공유어린이집은 오세훈 서울시장의 대표 보육 공약사업이다. 도보 이용이 가능한 인근 국공립·민간 어린이집을 하나의 공동체로 묶어 이 보육 프로그램과 공간을 공유하고, 교구를 공동구매하면서 양질의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다.
시는 지난해 참여하고 있는 어린이집을 포한해 올해는 150개 어린이집이 참여해 40개 공동체까지 운영을 확대한다. 신규 참여할 26개 공동체, 92개 어린이집을 23일부터 다음달 8일까지 공개 모집한다.
각 자치구에서는 참여할 어린이집을 모아 공동체 단위 1~2개를 선정해 신청하면 된다. 어린이집 이용권역으로 통학거리 10분 이내인 3~5개 어린이집이 하나의 공동체가 된다. 어린이집 간 상생·협력을 통한 변화를 희망하는 곳으로 구성하면 된다.
시는 선정위원회 심사를 거쳐 2월 중 선정을 완료하고, 3월부터 운영에 들어간다.
올해부터는 다양한 형태의 보육 모델, 놀이 프로그램 등이 서울형 공유어린이집에 적용돼 시너지 효과를 내고 보육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한층 업그레이드해 운영한다.
‘생태친화 어린이집’, ‘다함께 어린이집’의 보육 모델을 필수적으로 적용하고, 공동체별로 원하는 놀이 중심 프로그램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비용부담 등의 문제로 실행하지 못했던 프로그램, 야간 보육, 새로운 놀이프로그램, 공동 통학차량 등도 실행할 수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전 자치구로 확대되는만큼 내실 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현장의 목소리를 수시로 들을 것"이라고 발혔다.
시는 실적 제출 등 서류 부담은 줄이고 예산 집행을 탄력적으로 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다양한 보육 모델과 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해 실행할 있도록 특화프로그램비 500만원을 지원한다.
또 시설별 생태환경조성비(연 70만 원)와 자치구별 공동체 총괄지원인력 수당(월 19만~24만 원)을 신규로 지원한다. 교사와 원장 활동 수당(월 5만~10만 원)도 기존 교사 4명에서 5명으로 확대했다. 기존에 지원하던 보조교사 배치 시 공유어린이집에 우선 배정(1명), 공동체별 운영협의회 운영비(월10만 원)도 지속 지원한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서울형 공유어린이집이 서로 자원을 공유하고 협력하는 것만으로도 전반적인 서비스 향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지난해 확인했다”며 “올해 전 자치구 확대 시행을 통해 어린이집 현장의 상생·협력 활동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