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90%, 물류 정상화 시기 내년 하반기 이후 전망
10곳 중 6곳은 ‘대응계획도 못 세워’
우리나라 수출입기업 중 절반 넘게 내년 물류비 부담으로 인한 영업이익 감소를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12일 국내 수출입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2022년 수출입 물류 전망과 기업의 대응과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내년 수출입액 대비 물류비 비중 전망을 묻는 말에 응답 기업의 91.2%는 올해와 비슷하거나 증가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올해와 비슷하다는 응답은 47.8%,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은 43.4% 수준이었다. 반면, ‘감소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8.8%에 불과했다.
글로벌 해운 운임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작년 4월 850선에서 올해 11월 4560선으로 5.4배 증가했다. 대한상의는 “최근 오미크론 바이러스 확산으로 해외항만・내륙운송 적체가 심화될 경우 운임지수가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기업들은 내년에도 수출입 물류비 상승이 지속할 경우 ‘영업이익 감소’(54.3%)가 가장 큰 어려움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어 ‘제품의 가격경쟁력 저하’(16.7%), ‘해외거래처 감소’(11.7%), ‘보관 등 비용 증가’(11.7%) 등으로 나타났다.
전기차부품 업체 A사 관계자는 “내년에 수출이 20%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올해 운임 급등으로 인한 물류비가 많이 늘어난 상황에서 내년에도 이러한 물류비 부담은 지속할 것으로 보여 걱정”이라며 “시장의 불확실한 상황에서 수출단가에 물류비를 어느 정도 반영해야 할지도 어렵다”라고 언급했다.
기업 대부분 내년 하반기 넘어 수출입 물류난이 정상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물류난 정상화 시기에 대해 내년 상반기라고 응답한 기업은 8.7%에 그쳤지만, 내년 하반기라고 응답한 기업은 44%에 달했다. 2023년이라고 본 기업 비중도 40%를 넘었다.
송상화 인천대 동북아물류대학원 교수는 “지금의 물류대란은 기존 경제위기와 달리 수요와 공급의 불확실성이 동시에 영향을 미쳐 지금까지 겪어보지 못한 어려움”이라며 “선복량 증가, 항만 하역 대기시간 감소 등 공급 측면에서 문제가 서서히 해소되고 있어 내년 상반기부터 병목현상이 완화되다가 하반기에는 물류난이 정상화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진단했다.
물류난 대응계획 수립 여부와 관련해선 '이미 수립했거나 수립 중'이라고 답한 기업은 39%, '아직 수립하지 못했다'라는 기업은 61%였다.
기업들이 물류난 대응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이유에 대해선 50.3%가 ‘시장의 불확실성 때문’이라고 답변했다. 이어서 ‘정보 부족’(16.2%), ‘자금 부족’(8.4%), ‘인력 부족’(5.6%) 순으로 나타났다.
수출입 물류와 관련한 애로사항으론 응답기업의 38.7%가 ‘운임 등 물류비 급등’을 꼽았고, ‘선박・항공 확보 애로’(21.0%), ‘컨테이너 부족’(17.7%), ‘해상운송 지연’(16.7%) 등도 지목됐다.
내년 수출입에서 물류난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을 묻는 질문엔 기업들의 32.7%가 ‘미주’라고 답했다. 이어 ‘유럽’(27.3%), ‘동남아’(14.0%), ‘동북아’(7.7%), ‘중동・아프리카’(4.7%)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수출입 물류난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추진해야 할 과제로는 응답 기업의 39.7%가 ‘운임 등 물류비 및 금융 지원 확대’를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선박・항공 공급 확대’(23.0%)가 많았으며, ‘항만 적체 완화 및 컨테이너 확보 지원 확대’(16.0%), ‘선복 지원 확대’(8.0%), ‘물류정보 제공 강화’(8.0%), ‘장기운송계약 등 운송계약관행 개선’(3.3%) 등을 요청했다.
서덕호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최근 오미크론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로 글로벌 수출입 물류난이 상당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기업 차원의 대응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정부는 물류비 지원 등 단기 처방뿐만 아니라 선박・항공 공급 확대 등 중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