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도시문화포럼(WCCF)의 최근에 우리의 문화와 기후 행동이 코로나 19 대응에 잘 반영되고 있는지 관련 자료를 발표했다. WCCF는 문화에 대한 세계 40개 글로벌 리더십 도시의 네트워크다.
코로나19는 기후위기 대응에 긍정적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가지고 있다. 우선 긍정적 측면은 오염과 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키고 있다. 지난 해 세계가 코로나 19로 인한 봉쇄로 인해 산업 활동이 감소하고, 여행 횟수가 줄면서 온실가스 배출과 대기 오염 물질도 줄었다. 자연생태계에 대한 인간 간섭도 줄어들고, 도시의 대기 질 개선, 수질 오염과 소음을 줄였다. 인기 관광지의 부담도 덜어 주면서 생태계 복원에 도움이 됐다. 대유행 동안 자연 존중이 증가한 셈이다.
그러나 봉쇄조치가 조금씩 해제되면서 탄소 배출량이 반등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각국 정부가 즉각적인 정책 행동을 하지 않으면, 올해 전 세계 배출량은 반등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전염병 개인 보호 장비 수요가 급증하면서, 일회용 플라스틱과 의료 폐기물도 증가하고 있다. 코로나19가 장기적으로 기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도 아직 명확하지 않다. 재택근무 확대로 자동차 이용은 줄지만, 대중교통으로부터의 감염을 피해 자동차 사용도 증가하고 있다.
도시의 문화 정책에서 해결과제는 더 심화 되고 있다. 각국 시 정부의 정책은 작년부터 코로나 비상 대응이 우선순위가 됐다. 이로 인해 환경 정책이 밀리면서, 환경 자금, 계획, 행동 역량과 자원, 대중 참여가 부족해지고 있다. WCCF에 참여하고 있는 40개 도시도 코로나 대응 기금 중에 3~5%만 환경 복구에 사용하고 있다. 문화 정책이 큰 타격을 받으면서, 기후위기에 대한 의제, 자금, 거버넌스, 인력, 역량, 환경 지식과 기술 등이 약해지고 있다.
공공 정책을 통해 환경 피해의 위험을 완화하고, 장기 회복력에 대한 투자가 절실하다. 코로나 위기로 우리의 환경 시스템이 많이 취약한 것을 알게 됐다. 배출량 반등 현상으로 재생에너지와 국제 협력 같은 구조적 변화가 더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야생 서식지 파괴는 전염병 위험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됐고, 생태복원은 건강, 경제, 환경 등에서 도움을 주기에 공통에 근거한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주요 정책 변화에 대한 대중의 욕구도 반영해야 한다. 대중의 지지를 얻기 위해서는 스토리텔링이 필요하다. OECD는 지역 사회 복지가 코로나 이후의 회복과 저탄소 전환의 중심 의제가 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또한 도시의 환경 정책은 양질의 일자리, 빈곤 퇴치, 사회적 평등과 함께 환경 지속 가능성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전환돼야 한다. 문화와 기후 비상사태 대응에는 우선순위가 필요하다. 우선 탄소 배출 반등을 막아야 한다. 경제회복으로 올해 배출량은 반등이 예상돼 문화를 통해 이를 줄여야 한다.
그 대상은 도시 디자인, 교육, 디지털 서비스, 관광, 고용, 재교육, 다양한 펀딩 등이다. 문화 시스템 전환에 자금을 지원해 녹색 회복, 창의적 실천, 순환 경제를 확대해야 한다. 자금 제휴를 통해 문화 자금을 환경 목표와 연결을 하여, 녹색 복구에 대한 공공 민간 투자자, 관객 등의 참여를 높여야 한다. 참여 활성화에도 문화를 활용한다. 이는 표적 집단 참여, 지역 사회 구축, ‘회복’을 넘어서는 수준 전환, 새로운 플랫폼과 활동 등에 이바지한다.
결국 코로나 대응은 환경과 문화를 통해 근본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