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관리가 시작된 쌍용자동차가 첫 단추인 ‘자구 계획안’을 놓고 조합원 투표에 나선다.
가결되더라도 이후 현안이 산더미처럼 쌓여있다. 당장 이달 말 ‘청산과 매각’이라는 또 하나의 고비도 넘어야 한다.
6일 이투데이 취재를 종합해보면 쌍용차는 7일 오전 7시 부재자(휴가 및 외근 근로자)를 시작으로 자구안 찬반 투표를 시작한다.
이날 '오후 근무조(7일)'와 이튿날 '오전 근무조(8일)'가 차례로 투표에 나선다. 결과는 이르면 8일 오후에 나온다.
앞서 쌍용차는 2년간 기술직 50%와 사무관리직 30%에 대해 무급 휴직을 시행하는 내용을 골자로 자구안을 마련했다. 향후 판매 상황 등을 고려해 무급휴직을 유지할지 재협의한다는 내용도 포함했다.
다만 자동차 업계에서는 쌍용차가 내놓은 자구안에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지난해 쌍용차 매출은 2조9000억 원 수준, 회사 임직원 규모만 4700명이 넘는다. 이보다 매출이 더 많은 르노삼성(약 3조4000억 원) 임직원 약 4000명보다 오히려 쌍용차 임직원이 약 18% 더 많다.
쌍용차 자구안을 두고 “인적 구조조정이 빠진 반쪽짜리 자구안”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반대로 쌍용차가 그동안 보여준 혁신적 노사문화를 고려하면 “인적 구조조정이 가혹하다”라는 의견도 팽배하다.
2009년 쌍용차 사태 당시 해고당한 노동자들이 지난해 5월까지 단계적인 복직했다. 여기에 사 측과 고통 분담을 위해 이 회사 노사는 '11년 연속 무분규 임단협 타결’이라는 기록도 보여줬다.
올해 들어 경영난이 시작되자 임금의 50%만 받는 등 조합원 대부분이 충분히 고통 분담에 나서고 있다. “단순하게 매출과 직원 규모를 비교해서는 안 된다”라는 의견도 이 때문에 나온다.
다만 자동차 업계에서는 고정비 절감을 포함해 쌍용차가 몸집 자체를 최대한 줄이는 게 매각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라는 게 공통된 의견이다.
자칫 자구안부터 부결되면 정부 차원의 지원은 물론, 법원의 회생 결정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불가피하다. 쌍용차는 조합원 투표결과가 중요한 이유다.
투표결과 가결안이 나오면 쌍용차는 이를 법원에 제출한다. 이후부터 풀어야 할 현안이 줄줄이 이어진다.
법원은 이를 포함한 여러 자료를 검토해 쌍용차의 회생(매각) 또는 청산을 결정한다.
앞서 2009년 쌍용차 사태 당시 법원은 “청산가치보다 존속(매각)가치가 더 크다”라는 조사결과를 앞세워 법정관리를 지속했다.
이번에도 이를 결정할 조사위원단이 현재 조사를 진행 중이다. 조사보고서 마감 기한은 오는 30일이며 법원은 이 보고서를 근거로 쌍용차의 청산 또는 존속(매각)을 결정한다.
청산 대신 매각이 결정되면 쌍용차는 즉각 매각 주간사를 선정한다. 이후 △인수의향서 접수 △예비 실사 △우선협상대상자 선정(10월 말)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유력투자자였던 HAAH오토모티브는 여전히 투자 의향을 지닌 것으로 전해졌다. 이밖에 국내 전기차 제조업체 2곳과 사모먼드 1곳 역시 인수 의지를 나타냈다.
쌍용차 노조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2018년 최종식 대표 재임 시절, 사실상 정부의 압박에 밀려 해고자 복직을 무리하게 결정했다”라면서 “정부는 ‘고용 확대 정책’으로 포장만 했지 쌍용차에 대한 지원에는 인색했던 게 사실”이라고 성토하기도 했다.
이어 "긍정적인 투표 결과에 정부의 지원 의지까지 추가되면 매각 작업도 차질없이 진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