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과 주식 등 자산가격의 급격한 상승은 민간부채 증가로 이어져 자산불평등과 금융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고 봤다.
11일 한국은행이 발간하고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 따르면 주택시장 변동성의 71%는 국내요인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87%)과 핀란드(85%), 뉴질랜드(77%) 보단 낮지만, 영국(28%) 보단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반면, 주식가격 변동성에서 국내요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28%에 그쳐 대조를 이뤘다. 반면 글로벌요인은 72%에 달했다.
최근 주택가격 상승은 공급부족에 대한 우려와 전세가격 상승 등 요인이 작용했다고 판단했다. 특히 수도권을 중심으로 신규 아파트 공급이 감소한 가운데 주택가격 추가 상승 기대에 따른 매물 감소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봤다.
이와 관련해 박종석 한은 부총재보는 “집값상승 요인은 수요증가와 공급부족 우려가 같이 작용했다. 특히 지난해 서울은 아파트 입주물량이 줄었다. 신규아파트 공급이 줄어든 부분이 있다. 또 가격 상승 기대가 커지면서 매물이 사라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면서도 “전세가격이 오르다보니 중저가 주택 중심으로 전세수요가 매매수요로 전환된 것도 수요측면에서 주택가격 상승 압력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 등이 어떤 효과를 나타낼지 지켜볼 필요가 있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최근 자산가격 상승세가 빠르다고 평가했다. 완화적 재정 및 통화정책에다 경기개선에 대한 낙관적 기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최근의 주택가격 상승은 민간부채 증가와 밀접히 연계돼 있는 만큼 금융시스템과 거시경제에 대한 리스크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박 부총재보는 “가계대출이 늘면서 금융불균형을 심화할 가능성이 있다”며 “통화정책은 완화기조를 유지해나가겠지만 금융안정면에서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