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는 14일 올해 한국이 주목해야 할 미국, 중국, 유럽, 일본, 아세안 등 주요국의 공통 키워드로 △백신 △바이든 신정부 출범 △대규모 경기부양 △친환경 △신시장 등 5개를 꼽았다.
우선 전경련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된 상황에서 백신 보급 속도와 효과에 따라 세계 경제 회복세가 결정될 것으로 내다봤다.
백신 확보에 성공한 국가들의 경제가 먼저 회복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국, 일본, 유럽은 2회 접종 기준으로 모든 국민이 접종을 받을 수 있을 만큼 백신을 확보했고 일부 국가는 작년 말 백신 접종을 시작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한국도 다른 국가에 뒤처지지 않도록 글로벌 백신 확보ㆍ보급 및 자체 백신 개발에도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 바이든 신정부 출범에 따른 글로벌 정책변화도 강조했다.
1월 말 출범 예정인 바이든 신정부는 '글로벌 리더'로서 미국의 귀환을 천명하며 WTO(세계무역기구), WHO(세계보건기구) 등 다자기구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파리기후협정 복귀, CPTPP(포괄적ㆍ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재참여 등 다자주의를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대중(對中) 정책의 경우 강경 기조를 이어가면서도 지식재산권 보호, 덤핑 방지 등 포괄적 무역정책을 지향하는 등 새로운 형태로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경련 측은 내다봤다.
그러면서 한국도 국제기구에서의 일정 역할을 위한 노력, CPTPP 가입 고려, 미ㆍ중 갈등 속 비슷한 환경에 노출된 중견 국가와의 연대 등에 노력해야 한다고 전경련 측은 조언했다.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주요국의 대규모 경기부양 계획도 제시했다.
올해 코로나로 경기 침체를 겪은 주요 경제권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예고하고 있다.
미국은 작년 12월 9000억 달러(약 987조 원) 규모의 2차 경기부양안에 합의했고, 올해 초 3차 경기부양안이 예고돼있다.
유럽은 7500억 유로(약 1004조 원) 상당의 금융지원이 예정돼있고, 중국도 신형인프라 설비에 향후 5년간 1700조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아세안도 인도네시아의 수도 이전 프로젝트, 태국 동부경제회랑 등의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다.
전경련 관계자는 "이런 경기부양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진출해 사업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며 "다만 미국의 경우 ‘미국산 우선 구매법’ 등 자국 우선주의 기조가 심화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로컬 기업과의 합작투자 또는 인수ㆍ합병(M&A)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친환경 기조 강화도 주요 키워드 중 하나다.
미국 신정부의 파리협약 복귀 가능성이 커지면서 미국ㆍ유럽ㆍ일본을 중심으로 탈 탄소, 친환경 정책이 강화할 전망이다.
미국은 2050년까지 탄소배출 제로를 목표로 올해부터 10년간 5조 달러를 친환경 분야에 투자할 계획이다.
유럽 또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55% 감축(1990년 대비)을 검토하고 있고 유럽자동차제조협회(ACEA)는 2040년까지 내연기관차 퇴출을 선언했다.
일본은 ‘2050년 탄소 중립’을 공식화하며 기금 2조 엔(약 21조 원)을 창설, 탈 탄소 연구개발을 10년간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전경련은 이런 중에 한국의 배터리산업, 친환경 차 산업이 호조를 보일 것이라며 관련 기술과 제품개발에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배터리 산업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차세대 전지 개발에 대한 지원 정책을 강화하고 배터리 필수 자원의 안정적 수급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마지막으로 동남아 신시장이 급부상할 전망이다.
최근 중국 중심의 GVC(글로벌 가치 사슬)를 재편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한 상황에서 동남아 국가들이 글로벌 기업 유치를 위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한국 기업들도 GVC 재편을 지속해서 관찰하고 현지 정부, 기업과의 관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전경련 측은 밝혔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2021년을 상징하는 5대 키워드에 대해 한국 기업의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이러한 키워드들은 위기 요인인 동시에 기회도 될 수 있으므로 한국기업들은 키워드를 활용한 비즈니스 기회창출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