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결함 신고 4년 새 46배↑…조사 인력ㆍ인프라 확충 시급

입력 2020-12-28 10:2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친환경차 부품인증센터 내년 10월 구축, 인력 확보는 여전히 숙제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교통안전공단)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자동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제작결함 신고 건수도 급증하고 있다. 최근 코나 전기차(EV) 화재를 계기로 전기차 안전에 대한 불안이 커진 상황에서 친환경차의 결함 조사를 담당할 전문 인력과 인프라 보강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올해 11월 기준 전기차 등록 대수는 13만1923대로 2016년 말(1만855대)과 비교하면 약 12배로 증가했다.

전기차 결함 신고도 늘어 교통안전공단 자동차리콜센터에 접수된 전기차 결함 신고는 올해 1∼11월 276건으로 2016년(6건)과 비교하면 46배나 급증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현대자동차의 전기차인 코나 화재다. 2018년 5월 출시 이후 13건의 국내외 화재가 발생했고 해외에서 7만7000대를 리콜했다.

전기차는 급증하고 있지만 조사 장비와 인력은 제자리걸음하고 있다. 우선 전기차 배터리 화재 원인을 밝히기 위해선 방폭 실험실 등이 필요하나 현재 자동차안전연구원은 이런 시설을 갖추지 못해 외부 시설에서 실험하고 있다.

자동차안전연구원은 배터리 분리막 손상으로 화재가 발생했을 개연성이 크다고 보고 화재 발생 메커니즘을 재현하는 시험을 진행 중인데, 이를 외부 민간기관에서 진행해야 해 원하는 시간만큼 조사를 진행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친환경차 보급 확대에 따른 결함 검사 수요를 맞추기 위해 총사업비 390억 원을 투자해 내년 10월까지 광주에 '친환경차 부품인증센터'를 구축하고 있다.

부품인증센터에는 방폭 시설을 갖춘 배터리 전문동이 구축돼 실차 테스트까지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부품인증센터가 가동된다고 해도 인력 확보는 여전히 숙제다. 배터리 관련 전문인력 확보가 시급한데 현재 인력시장에서 배터리 관련 경력자를 구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코나 차량 화재 관련 조사 인력은 3명에 불과하다. 자동차안전연구원은 조사 인력 13명을 추가 투입했으나 전기차 배터리와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등 전문 인력은 부족한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전기·수소차의 적극적인 보급에 앞서 안전성을 철저히 검증하고 제작결함조사 강화를 위한 인력과 인프라 확보가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어떤 주담대 상품 금리가 가장 낮을까? ‘금융상품 한눈에’로 손쉽게 확인하자 [경제한줌]
  • 2025 수능 시험장 입실 전 체크리스트 [그래픽 스토리]
  • "최강야구 그 노래가 애니 OST?"…'어메이징 디지털 서커스'를 아시나요? [이슈크래커]
  • 삼성전자, 4년 5개월 만 최저가...‘5만 전자’ 위태
  • 고려아연, 유상증자 자진 철회…"신뢰 회복 위한 최선의 방안"
  • 재건축 추진만 28년째… 은마는 언제 달릴 수 있나
  • 법원, 이재명 ‘공직선거법 1심’ 선고 생중계 불허…“관련 법익 종합적 고려”
  • ‘음주 뺑소니’ 김호중 1심 징역 2년 6개월…“죄질 불량·무책임”
  • 오늘의 상승종목

  • 11.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399,000
    • +3.31%
    • 이더리움
    • 4,558,000
    • -1.85%
    • 비트코인 캐시
    • 597,000
    • -1.57%
    • 리플
    • 992
    • +8.42%
    • 솔라나
    • 300,000
    • +0.77%
    • 에이다
    • 798
    • -1.72%
    • 이오스
    • 781
    • +0.9%
    • 트론
    • 253
    • +0.8%
    • 스텔라루멘
    • 181
    • +9.04%
    • 비트코인에스브이
    • 79,000
    • -3.36%
    • 체인링크
    • 19,640
    • -1.36%
    • 샌드박스
    • 409
    • -1.4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