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이 스스로 대출 총량과 속도 조절에 나선다. ‘빚투’(대출자금으로 투자) 등의 영향으로 늘어난 신용대출이 금융 위험 요소로 지목되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우대금리 폭을 줄여 전체 신용대출 금리 수준을 높이고, 최고 200%에 이르던 일부 전문직의 연 소득 대비 신용대출 한도도 줄일 방침이다.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시중은행에서는 우대금리 하향 조정을 검토하고 있다. 10일 기준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금리는 1.85~3.75%(각 은행 신용대출 대표상품 기준) 수준이다.
각 은행에서 최저 금리로 돈을 빌리려면 우대금리(금리할인) 혜택을 최대한 받아야 한다. 다만 우대금리는 해당 은행 계좌나 계열 카드 이용 실적, 금융상품 가입 유무 등 여러 부가 조건에 따라 부여된다.
우대금리 수준은 은행 상품에 따라 다르지만, 낮게는 0.6% 정도부터 높게는 1%에 이른다. 결국 이렇게 깎아주는 우대금리 폭을 줄여 신용대출 금리 수준을 지금보다 높이면 대출 증가 속도를 어느 정도 늦출 수 있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또한 은행들은 특수직(의사ㆍ변호사 등 전문직 포함) 등에 대한 신용대출 한도도 낮출 전망이다.
은행권의 신용대출은 보통 연 소득의 100~150% 범위에서 이뤄진다. 그러나 특수직 등은 현재 은행에서 많게는 연 소득의 200%까지 빌리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외에 소득 대비 한도 비율뿐 아니라 신용대출 절대 금액이 너무 큰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한편, 이 같은 은행권과 당국의 신용대출 규제 움직임이 알려지자, 금리와 한도 등이 유리할 때 대출을 미리 받아두려는 수요까지 몰리면서 오히려 신용대출 증가 속도가 일시적으로 빨라지는 부작용도 나온다.
5대 시중은행에 따르면 금감원-부은행장 화상회의가 열린 14일과 이튿날, 2일 동안 은행에 따라 996억~2014억 원까지 모두 6568억 원의 신용대출 잔액이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