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의 주요 산업지표가 또다시 고꾸라졌다.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산업활동동향 자료에 따르면 전산업생산은 전월보다 0.1% 늘어나는 데 그쳤다. 6월 4.1% 증가율을 보여 연초부터 계속된 역성장에서 벗어나는가 싶더니 상승세가 다시 꺾인 것이다.
특히 대표적 소비지표인 소매판매가 -6.0%로 급감했다. 코로나19 확산 초기인 2월과 같은 감소폭인데, 2011년 2월(-7.0%) 이후 9년여 만에 가장 저조하다. 정부가 5월부터 지급한 14조 원 규모의 긴급재난지원금 효과로 5∼6월 소비가 반짝 늘어났다가, 정책 효과가 소진된 탓이 크다.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기업들의 설비투자 또한 전월보다 2.2% 감소했다. 6월 증가(5.2%) 에서 다시 후퇴한 것이다.
7월 지표에서 광공업 생산지수가 1.6% 증가했고, 경기 흐름을 가늠케 하는 동행 및 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각각 0.2포인트(P)와 0.4P 올랐지만 지금 시점에서는 무의미하다. 폐쇄됐던 세계경제 활동의 재개 움직임과 우리 경제의 방역 성공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했는데, 8월 중순 이후 상황은 다시 악화일로다. 세계 코로나19 확산 추세가 멈추지 않는 데다, 국내에서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2.5 단계 거리두기로 방역조치가 강화됐다. 가뜩이나 가라앉은 소비의 추락이 더 가속화할 수밖에 없다. 예측된 것보다 더 깊은 경기 침체를 각오해야 한다.
3분기나 4분기에도 경기 반등이 어렵다는 얘기다. 코로나19 확산세가 더 나쁜 국면으로 진전될 경우 방역조치 3단계로의 상향이 불가피하다. 경제활동이 사실상 봉쇄된다. 한국은행은 최근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0.2%에서 -1.3%로 내려잡으면서 민간소비가 -3.9%로 감퇴할 것으로 내다봤다. 방역조치 강화를 염두에 두지 않은 그 전제부터 어그러지고 있다. 앞으로 소비가 얼마나 더 추락할지 가늠조차 힘들다. 올해 경제성장률이 -3% 이하로 뚝 떨어질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지배적이다.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시행된 지난달 30일 이후 경제활동의 중단으로 서울 등 수도권의 거리는 이미 썰렁하다. 자영업 등 소상공인들의 생업 기반이 무너지고 수많은 기업들도 더 버티기 힘들어지는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수출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그나마 국내 경기의 버팀목인 소비의 추락부터 막는 것이 급선무다. 소비가 더 무너지면 기업들의 투자가 이뤄지지 않고 일자리가 대규모로 줄어드는 충격 또한 필연이다. 지금으로서는 코로나19 확산에 제동을 거는 것보다 급한 게 없다. 사태가 악화하는 것을 막기 위한 모든 대응책을 동원하고, 생존의 기로에 선 기업들이 버틸 수 있는 지원책이 실행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