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률 전망치가 다시 한 번 큰 폭으로 하락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재확산하면서 경제회복에 대한 기대감도 꺾이고 있는 셈이다. 현재 흐름이라면 낙관적으로 잡아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5.1%) 이후 첫 역성장이 불가피해 보인다.
27일 한국은행은 올해 경제성장률(GDP) 전망치를 마이너스(-)1.3%로 예상했다. 이는 3개월전인 5월 전망치(-0.2%) 대비 1.1%포인트 낮춘 것이다. 5월에도 2.3%포인트나 하향조정한 바 있다.
코로나19의 대내외 확산세가 조기 종식되더라도 올 성장률은 -0.9%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장기화할 것이라는 비관적 시나리오 하에서는 -2.2%까지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브이(V)자 반등도 물건너가는 분위기다. 5월에 2.4%에서 3.1%로 상향조정했던 내년 GDP 전망치를 2.8%로 낮췄다.
성장률 하향 조정의 주된 이유는 역시 코로나19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코로나19의) 글로벌 확산세가 꺾이지 않고 있는데다, 최근 국내에서 다시 재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출과 국내 소비 개선 흐름이 당초 예상보다 더딜 것으로 본 것이 가장 큰 조정 이유”라고 설명했다.
한은은 향후 성장 전망에 있어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조기 개발과 중국경제 성장세 확대, 정부 경제활성화 대책 등을 상방리스크로 꼽았다. 반면, 국내외 코로나19 재확산, 반도체경기 둔화, 미ㆍ중 갈등 심화 등을 하방리스크로 제시했다.
이 총재도 “앞으로의 성장흐름은 사실상 코로나19의 전개상황과 그에 따른 정부 대응 그리고 각 경제주체들의 행태에 따라 좌우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날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현행 연 0.50%로 동결했다. 금통위원간 이견은 없었다. 그간의 확장적 재정 및 통화정책 효과를 지켜보고, 코로나19의 향후 전개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때문이라게 한은측 설명이다. 다만 기준금리가 이미 실효하한에 근접한데다, 최근 부동산 등 집값이 급등했다는 점이 부담스러웠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