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전문가들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내다봤다. 과도한 유동성에 따른 자산 쏠림 현상이 우려된다는 금통위원들의 의견이 7월 의사록에서 확인된 점과, 금리가 이미 실효하한에 근접했다는 시각 등이 더해진 결과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대한 우려도 남은 만큼, 국고채 매입과 같은 비전통적 통화정책과 4차 추경 등 정부 재정정책을 통해 현 위기를 벗어나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23일 이투데이가 증권사 채권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 모두 8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한은이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했다. 만장일치 여부와 관련해선 소수의견이 있어도 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한 한 명을 제외하곤 모두 긍정적으로 답했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코로나19의 확산세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데 입을 모으면서도 동시에 추가 금리 인하엔 여러 걸림돌이 있다고 전했다. 특히 현 금리가 실효하한까지 온 터라 더 이상 낮추기 어렵다는 의견과 함께 코로나19의 충격이 심해져 미국 금리가 마이너스로 내려가지 않는 이상 한은이 먼저 금리를 내릴 순 없다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김명실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코로나19가 3분기에도 현 흐름이라면 애초 5월에 한은이 제시했던 비관적 경기 시나리오로 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다만 당장 금리를 내리기엔 실효하한이 걸림돌이고, 미 연준의 스탠스가 이전 대비 크게 도비시(dovish)하지 않다는 것도 이유”라고 설명했다.
국고채 단순 매입, 무제한 RP도입과 같은 비전통적 통화정책과 더불어 4차 추경 등 정부의 재정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이들은 금리의 추가 인하를 통한 효과를 기대하긴 사실상 어렵다고 판단하며, 대신 시장에선 정부의 재정에 집중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동결 흐름이 올해 너머 내년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시각도 여럿 있었다.
김지만 삼성증권 연구원은 “민간신용 증가로 인한 금융안정도 함께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므로 동결이 상당 기간 이어질 것”이라며 “경기가 재차 급락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내년 말까지 현 수준을 예상한다”고 전했다.
한편, 한은은 27일 금통위를 통해 기준금리를 결정하고 수정경제전망을 발표한다. 앞서 7월 금통위에선 기준금리를(0.50%) 동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