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의 홍콩보안법 제정 강행에 대한 보복 위협에 따라 위안화의 국제화가 더없이 중요해지면서 지난 몇 주 동안 중국 정부 당국자와 시장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위안화의 국제화에 한층 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중국에 대한 미국의 전방위적 압박이 강화하면서 금융 분야에도 제재 위기감이 고조된 탓이다. 미국이 ‘달러 패권’을 이용해 중국을 달러 중심의 국제결제망에서 퇴출하는 극단적인 공세를 감행할 수 있다며, 이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올 정도다.
상황이 이렇게 되면서 내수 확대를 통한 경기 회복 추진 등에 따라 잠시 주춤했던 위안화를 기축통화로 만들겠다는 중국의 의지가 다시금 타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금융부문 핵심 당국자 역시 최근 열린 포럼에서 위안화 국제화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신량재경에 따르면 팡싱하이 중국 증권감독위원회 부주석(차관)은 지난달 말 열린 경제매체 차이신 주최 포럼에서 “위안화의 국제화는 향후 외부의 금융 압력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라며 “미리 계획을 마련해야 하며, 우회할 수 없는 과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자국의 기업과 금융기관들이 대부분 달러 거래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방식의 안전성에 대해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거의 1조 달러의 역외 채권과 대출, 1조1000억 달러 규모의 국유은행 부채를 지닌 상황에서 달러화 자금에 대한 접근은 중국 기업 등에는 사활이 걸린 문제다.
물론 미국이 자국의 이익이나 글로벌 금융시스템 전체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는 과격한 행동에 실제로 나설 가능성은 매우 낮다. 하지만 이러한 위험을 인지시키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경종을 울린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딩 슈앙 스탠다드차타드(SC) 중국 및 북아시아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정부에 있어서 위안화의 국제화는 ‘바람직한 것’에서 ‘필수적인 것’으로 바뀌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치적 불확실성 속에서 중국은 달러를 대체할 것을 찾아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중국은 금융 리스크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에서는 2007~2009년 금융위기 이후에도 달러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비슷한 요구가 있었다. 그리고 수년간 어느 정도 진전을 이뤘던 것도 사실이다. 역외 위안화 거래를 촉진했고, 국제 준비통화로서의 지위를 공식 확보했다. 하지만 아직 글로벌 무대에서 위안화의 입지는 아직도 미미하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국제 결제와 중앙은행의 외환보유고에서 위안화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2%로 여전히 낮다. 중국 금융시장의 꾸준한 개방이 해외 투자자들의 유입을 촉진하고는 있지만, 본토 기업의 주식이나 채권에서 차지하는 외국인 투자자의 보유 비중은 상대적으로 작다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