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곳곳에서 ‘주4일 근무제’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고 26일(현지시간)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보도했다.
이 혁신적인 근무제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은 연초 돌았던 핀란드발 ‘가짜 뉴스’에서도 엿볼 수 있다. 산나 마린 핀란드 총리가 자국에서 주4일 근무제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진 것이다. 하지만 사실 핀란드 총리는 취임 전 “노동 시간 단축의 비전을 갖고 있다”고 말했을 뿐이었다. 이는 노동 개혁을 선도하는 유럽에서도 주4일 근무제 실현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닛케이는 해석했다.
그러나 마이크로소프트(MS) 일본지사는 지난해 8월 약 2300명의 전 직원들을 대상으로 급여 수준을 유지한 채 주4일 근무제를 시범 도입하는 파격적인 실험에 나섰고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직원 1인당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40% 늘었다. 회사 측은 “운영체제 ‘윈도7’의 지원 종료를 앞두고 교체 수요가 있었던 것도 한몫했지만, 생산성이 향상된 것도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MS는 이를 ‘근무일 수만 줄이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도전’이라고 규정했다. 직원들의 급여 수준, 대우, 책임 범위, 목표 등에는 변동이 없었다. 대신 불필요하거나 급하지 않은 업무를 구분하고, 30분 이내에 끝나는 회의의 비율이 전체의 50% 가까이 급증하는 등 업무 효율성이 대폭 개선됐다.
뉴질랜드의 한 자산운용사 역시 지난 2018년 주4일 근무제를 시행한 결과 생산성이 20% 오른 것을 확인했다. 이 회사 역시 급여 수준을 바꾸지 않았다. 대신 회의 단축, 수동 작업의 자동화로 생산성 향상을 꾀했다. 현재 이 회사는 주4일 근무제가 정착됐다.
다만 닛케이는 현재까지 ‘주4일 근무제’를 실현하기에는 장애물이 상당히 높다고 평가했다. 일본에서는 정사원이든 시간제 근로자든 일한 시간에 따라 급여가 결정되는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일본 싱크탱크인 닛세이기초연구소(NLI)의 타로 사이토 연구본부장은 “근로 시간의 단축은 가계 소득이 줄어 경제 침체를 야기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1990년대 정착한 주5일 근무제가 일본의 경기침체를 초래했다는 분석도 있다. 일본 정책연구대학원대학의 하야시 후미오(林文夫) 교수와 에드워드 프레스콧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 교수가 발표한 2002년 논문은 “1인당 평균 노동시간의 감소와 생산성 저하로 일본이 심각한 경기침체에 빠졌다”고 밝혔다.
최근에는 일본 정부가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에 조기 퇴근을 권장하는 ‘프리미엄 프라이데이’를 실시하기도 했으나, 이는 정착되지 않았다. 한 달에 한 번 금요일 오후 3시에 퇴근하도록 하는 이 제도는 급여가 줄어드는 것에 대한 반발과 함께 계약이나 회계 처리가 집중되는 월말에 일을 쉴 수 없는 사람들이 많아 제대로 효과를 보지 못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