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강국을 꿈꾸는 중국이 대규모 반도체 펀드를 조성했다.
2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 22일 자국 반도체 산업 지원을 위한 289억 달러(약 34조 원) 규모의 반도체 펀드를 조성했다. 펀드 조성에는 중국 국영 담배회사와 중국개발은행을 포함한 정부 지원을 받고 있는 기업들이 대거 참여했다.
중국의 반도체 펀드 조성을 두고 WSJ는 미국으로부터의 기술 독립은 물론 글로벌 기술을 선도하겠다는 중국의 야심을 보여주는 신호라고 평가했다.
중국의 이같은 반도체 굴기는 미국의 심기를 건드릴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제프 문 미국 무역대표부(USTR) 전 중국 담당 대표보는 “중국 국가주도의 관행과 정책이 미중 무역전쟁을 불러 일으켰다”면서 “중국이 이 방침을 더 강화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반도체 굴기 야심은 계속돼 왔다. 2014년에도 중국 정부 주도로 1390억 위안 규모의 반도체 펀드를 조성한 바 있다. 당시 미국은 이를 두고 중국 기업들에 ’불공정한 우위‘를 제공하는 ’국가 자본주의‘라고 비판했다.
중국 정부의 지원 사격 덕에 성과도 나타났다. 당시 반도체 펀드는 수십 개 프로젝트에 돈을 쏟아 부었는데 그 중 하나가 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컴퍼니다. 이 회사는 지난 9월 메모리칩 대량 생산을 시작했다.
지난해 미 무역대표부(USTR)는 보고서를 통해 중국의 2014년 반도체 펀드를 두고 중국 정부가 국가전략목표를 위해 펀드 설립에 깊이 관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중국 정부의 기술 독립 실현이 녹록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WSJ는 전망했다. 잇단 반도체 펀드 조성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갈길이 멀다는 이유에서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여전히 주요 반도체기술에서 인텔이나 삼성전자, 대만 TSMC 등에 비해 수년 뒤처져 있다고 평가했다.
반도체 기술 자립에 또 다른 장애물도 있다. 바로 생산 장비를 미국과 일본을 비롯한 국가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상태라는 점이다. 중국 정부 발표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3121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를 수입했다. 같은 기간 중국의 원유 수입은 2403억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액 기준으로 중국은 원유보다 반도체 수입 의존도가 더 높은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