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도 양극화현상을 빚고 있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즉, 근로자를 대규모로 채용한 기업체 일수로 일자리는 안정적이고 새 일자리 창출은 부진한 반면, 소규모 업체는 이직이 잦고 신규 및 소멸 일자리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체 일자리 중 40대 후반 비중이 가장 많았고, 여성의 경우 30대 초반 일자리가 되레 20대 후반 보다 적었다.
대규모 업체의 경우 1년 이상 근속자를 의미하는 지속일자리는 405만개로 80.9%를 차지했다. 반면 전년 같은기간과 견줘 퇴직 후 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67만1000개, 13.4%)되거나, 사업확장 내지 축소 등으로 새로 생기거나(28만9000개, 5.8%) 없어진(18만5000개, 7.5%) 일자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반면 5개 미만 소규모 업체는 지속일자리가 130만4000개로 59.9%에 그쳤다. 신규인력(57만7000개, 26.5%)도 많았지만, 소멸인력(51만8000개, 20.9%) 역시 적지 않았다. 대체(29만6000개, 13.6%)된 인력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연령별로는 30대 후반에서 40대 후반 비중이 전체 일자리 10개 중 4개(38.4%)에 달했다. 40대 후반(45~49세)이 240만9000개로 가장 많았고, 이어 30대 후반(35~39세)(234만9000개), 40대 초반(40~44세)(219만6000개) 순이었다.
신규채용 일자리는 사회 진입 연령대인 20대 후반(25~29세)이 85만5000개로 가장 높았다. 이어 20대 초반(20~24세)(69만개), 40대 후반(61만개) 순을 보였다.
성별로는 30대 후반 남성 일자리수가 146만6000개로 가장 많았다. 이들의 지속일자리도 111만1000개로 가장 높은 고용 안정성을 기록했다.
여성 일자리수는 30대 초반이 80만7000개로 그 이전 연령대인 20대 후반(93만5000개) 보다 12만8000개 적었다. 이는 신규채용 일자리가 13만8000개(20대 후반 36만8000개→30대 초반 23만개) 줄어든데 따른 것이다.
서 의원은 “국내 일자리가 대규모 기업체에 상당수 몰려있는 상황에서 이들 일자리의 안정성은 높은 반면, 소규모 기업체는 그 반대로 나타나 일자리 양극화가 확인됐다”며 “중소규모 기업체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지원에 정책역량을 집중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여력을 높일 필요가 있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