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제로페이 사용자 확대에 주력하면서 서울시와 중소벤처기업부는 4월부터 편의점에서 제로페이를 사용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편의점 업계에서는 결제 시스템 개발에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며 난색을 보이고 있어 4월 도입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6일 서울시와 중기부에 따르면 4월부터 CU(씨유)와 GS25, 이마트24, 세븐일레븐, 미니스톱, 씨스페이스 등 6대 편의점에서 제로페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제로페이와 가맹점에 비치된 포스단말기가 연동되도록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지난해 12월 도입된 제로페이는 소비자가 가맹점에서 물건을 살 때 간편결제 사업자 앱으로 가맹점 QR코드를 찍으면 소비자 계좌에서 판매자 계좌로 바로 돈이 이체돼 결제된다. 기존 신용카드 결제 과정에서 드는 카드사 수수료와 부가통산사업자(밴사·VAN) 수수료 등 중간 단계를 줄였다. 가맹점에는 전년도 매출액 기준으로 8억 원 이하는 0%, 8억~12억 원은 0.3%, 12억 원 초과 가맹점에는 0.5%의 수수료가 각각 부과된다.
제로페이 도입 자체에 대한 분위기는 일단 긍정적이다. 대다수 편의점은 신용카드 수수료를 가맹점주와 본사가 계약 비율대로 나눠 부담하고 있는 만큼 제로페이 이용에 따라 양측 모두 수수료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편의점 가맹점 사업자의 평균 매출액은 약 6억 원으로 대다수 점포가 제로페이 결제 시 0%의 수수료 혜택을 누릴 수 있다.
하지만 편의점 본사에서는 4월 시스템 도입까지 시간이 촉박하다며 볼멘소리를 내고 있다. A편의점 관계자는 “이제 막 시스템 개발을 시작하는 단계인데, 정부에서 일방적으로 4월 도입을 알려 난처하다”면서 “그때까지는 테스트도 불가능할 정도다. 빨라야 5~6월은 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B사 관계자 역시 “최대한 노력해도 4월 도입 기한은 맞추기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이들이 공통으로 지적하는 부분은 결제 시스템이 제로페이와 가맹점 간에 다이렉트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중간에 밴사가 껴 있어 문제가 복잡하다는 점이다. 제로페이와 밴사, 밴사와 가맹점 포스단말기 간의 시스템을 이중으로 개발해야 하는 데다 양쪽 시스템의 최적화 작업에서도 상당 시간이 소요된다는 설명이다.
여기에 편의점 본사가 개발 비용까지 부담해야 한다. C사 관계자는 “수수료 비용이 줄어들어 유리한 점이 있겠지만, 밴사와 가맹점 포스 단말기 사이 시스템 개발 비용 부담이 있다”면서 “제로페이 사용이 확대되지 않으면 개발 비용만 날리는 셈이 된다”고 우려했다. B사 관계자는 “개발 비용이 들어가는 만큼 제로페이가 활성화해야 편의점 입장에서 실제 순익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소비자들이 제로페이를 많이 쓸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마련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제로페이는 시내 번화가에서조차 가맹점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이용이 지지부진한 상태다. 제로페이의 1월 결제 실적은 8633건, 결제금액은 1억9949만 원으로 2억 원에도 미치지 못했다. 같은 달 개인카드 결제 건수(15억6000만 건)의 0.0006%, 결제금액(58조1000억 원)의 0.0003%에 불과하다. 1월 말 기준 제로페이 가맹점은 4만6628개로 가맹점당 거래 실적은 0.19건, 4278원에 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