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개 국제통화기금(IMF) 이사국 재무장관, 중앙은행장 등이 핀테크·암호화 자산(가상화폐)을 새로운 기회 요인으로 보고 적절한 정책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13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 연차총회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에서 미국, 일본, 독일, 중국 등 24개 IMF 이사국 재무장관, 중앙은행 총재, 세계은행(WB)·금융안정위원회 등 주요 국제금융기구 대표들이 참석했다. 이들은 최근 세계 경제, 금융시장 동향과 위험요인을 점검하고, 세계 경제 확장세 지속을 위한 정책과제와 IMF의 역할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다수국들은 핀테크·암호화 자산 등 새로운 금융기술의 등장이 위험요인인 동시에 기회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정책 프레임워크(Framework·체제)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또 참가국들은 세계 경제 확장세는 지속하고 있으나, 지역별로 불균등하며 무역분쟁·글로벌 금융긴축 등 하방 위험이 고조되고 있으므로, 정책 여력을 확충하고 구조개혁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시장과의 소통을 통한 주요국의 점진적 통화정책 정상화, 부채축소 노력 등 재정의 완충(buffer) 역할도 강조하며, 저소득국 부채 문제 완화와 금융규제 개혁 지속의 중요성도 언급됐다. 다수국은 최근의 무역 긴장 심화를 하방 위험요인으로 지목하면서, 세계무역기구(WTO)를 개선하는 노력 등을 통해 국제무역 신뢰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참가국들은 세계 경제의 확장세를 이어가는 동시에 위험 요인 완화를 위해 IMF의 개별 국가에 대한 감시 활동, 기술지원 등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다자무역 체계를 견지하기 위한 글로벌 다자공조에 IMF가 중심적인 역할을 해 달라고 요청했다. 또 IMF가 글로벌 금융안전망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제15차 쿼터일반검토(GRQ)를 늦어도 내년 10월 연차총회까진 마무리 해야 하며, 쿼터 배분 시 세계 경제에서 신흥국 경제가 성장한 비중을 적절히 반영하고 저소득국의 투표권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진행돼야 하는 방향성을 제시했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 회의에서 글로벌 금융위기가 10년이 지난 현시점에서 과거 위기 양상들에 비추어, 잠재적 위험요인을 설명했다. 그는 글로벌 금융위기의 원인이었던 과도한 부채 문제를 언급하며 지난 10년간 세계 부채 규모가 급증했으며, 선제적으로 해결되지 않으면 금융시장의 혼란을 불러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위기를 확산시킨 급격한 자본 흐름에 대해서도 주의가 필요함을 강조하다며 최근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에 따라 신흥국으로부터의 자본유출이 나타나면서, 시장 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위기 극복에 기여했던 국제공조가 약화하고 있고, 이로 인해 또 다른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고도 지적했다. 김 부총리는 이러한 잠재적 위험요인에 대응하며 강하고 회복력 있는 글로벌 금융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IMF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며 저소득 국가의 부채관리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다자주의에 대한 신뢰를 복원해 달라고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