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개인 간 거래(P2P) 업체의 부실 우려가 커지면서 무분별하게 난립한 관련 협회에 대한 문제 역시 도마위에 올랐다. 진입장벽 없이 등장하는 관련 협회가 금융당국과 투자자의 혼란만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25일 P2P금융 업계에 따르면 현재 P2P금융과 관련된 협회는 한국핀테크산업협회, 한국P2P금융협회, 한국P2P금융투자협회, 한국대부금융협회, 한국크라우드펀딩협회 등 총 5곳에 달한다. 여기에 최근 한국 P2P금융협회에서 이탈한 업체들이 협회 설립을 준비하고 있어 곧 6곳으로 늘어날 전망이다.▶관련기사 6면
이 중 대표적 협회로 한국핀테크산업협회와 한국P2P금융협회가 꼽힌다. 한국핀테크산업협회가 P2P금융사, 결제기관, 금융IT 업체 등 핀테크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협회라면, 한국P2P금융협회는 P2P금융업계 자체만을 대상으로 한다. 한국P2P금융투자협회와 수천 개의 P2P금융 회원사를 보유한 한국대부금융협회, 한국크라우드펀딩협회 등도 P2P금융에 발을 담그고 있다. 이에 더해 최근 한국P2P금융협회에서 내부 갈등 끝에 이탈한 렌딧과 팝펀딩, 8퍼센트 등 P2P업체들도 새로운 협회를 준비하고 있다.
협회의 설립 목적은 회원사들의 권익 향상이다. 정부와 감독 기관에 업계의 의견을 전달하는 창구 역할을 대신하거나 세미나를 개최해 규제 완화와 정책 개선 등 제도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나선다. 협회가 회원사로부터 가입비와 회원 유지비를 받는 이유다. 특히 규제에 민감한 P2P금융사들은 협회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처럼 협회가 난립하는 건 회원사별로 이해관계가 다른 탓이 크다. 업체 간 이해관계가 상충되는 경우가 많고, 협회의 방향에 따라 업체의 입장이 ‘패싱’되는 사례도 빈번하기 때문이다. 앞서 렌딧과 팝펀딩, 8퍼센트의 탈퇴도 협회가 분열 양상을 보인 데서 비롯됐다. P2P업계 고위 관계자는 “협회에는 여러 업체가 소속돼 있어 내부적으로 갈등을 빚는 곳도 많다. 하나로 움직여야 한다는 점에서 (협회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말했다.
협회 난립은 금융당국 차원에서도 골칫덩어리다. 협회가 많을수록 관리가 어렵고, 대표 격인 협회를 선정하기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블록체인 업계에서도 난립하는 협회가 대표성을 두고 갈등을 빚은 바 있다. 현재 P2P금융 관련 협회 중 인가가 완료된 협회는 한 곳도 없다. P2P금융 업계에서도 협회 간 다툼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투자자들은 대표성 없는 협회들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인다. 한 투자자는 “투자한 업체가 A협회에 가입돼 있지만, 여러 사업을 하는 것뿐이지 업권 대표성은 덜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투자자는 “협회는 자신들의 이익이 우선이지 투자자 보호를 위한 일을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투자자들은) 협회 가입 여부만 확인할 뿐이다. 협회도 다양하고 괜찮은 협회인지 아닌지 확인할 길도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