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전문가들은 한국은행 1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가 현행 연 1.50%로 동결될 것으로 봤다. 대부분 만장일치를 예상한 가운데 한 명의 전문가는 명시적으로 인상 소수의견이 나올 것으로 전망했다.
향후 금리인상 시점은 2분기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8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5명은 하반기를 꼽았다. 경제상황과 미국 금리인상 기조, 부동산과 가계부채 문제를 지켜볼 필요가 있어서다. 다만 총재와 금통위원 교체는 물론 6월 지방선거로 이어지는 정치공학적 변수가 영향을 끼칠 것으로 봤다. 2월 인상을 예상한 전문가도 2명이나 있었다.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은 “경기 펀더멘털상 금리를 연속적으로 인상할 수준은 아니다. 지난해 11월 금리인상 이후 한은의 언급을 보면 추가 인상에 신중한 모습이다. 또 금통위원들 사이에서도 추가 인상에 대해 의견이 많이 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통위 후 연준 FOMC가 열린다는 점에서 한은이 선제적 조치를 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향후 금리인상을 가름할 변수로는 부동산 및 가계부채와 연준 금리인상 속도가 꼽혔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은 미 금리인상 속도다. 연준이 올 3월 등 연내 세 번 인상할 경우 한은도 연내 두 번 정도 인상할 것으로 본다”며 “규제강화에 나서고 있는 정부 스탠스도 변수다. 정부가 대출금리를 올려서 추가 대출을 옥죄겠다는 입장이라면 상반기 중 인상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총재 및 금통위원 교체, 지방선거를 변수로 꼽는 전문가들도 많았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3월말로, 함준호 금통위원은 5월12일로 각각 임기를 마친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신임 총재가 부임하는 4월 이전까지는 금리동결이 불가피해 보인다”고 봤다. 이재형 유안타증권 연구원도 “1분기는 지표흐름을, 2분기엔 금통위원 변경과 지방선거 요인도 있다. 적극적으로 액션을 취하기엔 시기적으로 애매하다”고 말했다.
반면 2월 인상에 나설 수 있다는 입장도 있었다. 신얼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인상 소수의견이 나올 것으로 예견하면서 “부동산과 가계부채 등 리스크 요인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며 “지난번 인상도 이른 시점에서 단행한 바 있어 추가 인상 시점 역시 조속한 시일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은은 18일 금통위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할 예정이다. 지난해 11월에는 6년5개월만에 기준금리를 25bp(1bp=0.01%포인트) 인상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