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회장이 금호타이어 인수를 위해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은 크게 두 가지다. 금호타이어 매각이 시작된 올해 초 차입매수(LBO)가 가장 먼저 언급된 바 있다. LBO는 박 회장의 특수목적법인(SPC)이 금호타이어 지분을 담보로 돈을 빌리고, SPC가 금호타이어와 합병한 후 내부 자금으로 대출을 갚는 방식이다.
박 회장이 SPC를 설립해 우선매수청구권을 넘기면 금호타이어 지분을 담보로 인수자금 대출을 받는다. 이후 SPC와 금호타이어와 합병하면 인수가 마무리된다. 다만 SPC의 인수자금 대출이 차입금으로 바뀌어 금호타이어의 부채 비율이 높아지게 된다.
인수·합병(M&A) 전문가는 “금호타이어의 국내 채무만 2조 원이 넘고, 해외 채무까지 고려하면 총 3조4000억 원에 달한다”며 “LBO 방식은 대우건설 인수 때처럼 그룹의 재무 부담을 키우는 위험한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두 번째는 재무적 투자자(FI)와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인수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이다. 금호타이어 채권단은 22일 주주협의회를 열고 박 회장이 계열사 재원 이용 등 조건 없는 컨소시엄 구성을 허용할 예정이다.
재계에서는 컨소시엄 구성 역시 사실상 불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금호산업 인수전과 상황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이다. 박 회장 개인 자금도 부족하고, 계열사를 동원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이 때문에 재계에서는 전략적 투자자(SI)로 끌어들이거나 자본시장에서 FI를 찾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IB 관계자는 “금호산업 인수전 당시는 금호터미널, 금호고속 등 현금력이 있는 계열사를 보고 자금 지원을 했지만 지금은 SI와 FI가 참여할 가능성이 낮다”며 “1억 원밖에 없는데, 30억 원 규모의 집을 사겠다고 주택담보대출을 알아보는 격”이라고 지적했다.
금호아시아나그룹 관계자는 “매각 가격을 1500억 원 인하하고 상표권 사용료 2700억 원을 보전하면 실질적 매각가는 5300억 원”이라며 “채권단이 공문을 보내면 검토한 뒤 우선매수권 행사 여부를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