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현대제철, 2분기 수요산업 침체에 영업익↓…"제품경쟁력 강화로 대응"

입력 2017-07-28 17: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현대제철이 자동차·조선 등 수요산업 침체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현대제철은 28일 컨퍼런스콜을 통해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3509억 원을 기록,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8.8% 감소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4조692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0% 증가했으나 당기순이익은 45.6% 감소한 1384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도 영업이익률은 7.5%로 낮아졌다.

자동차·조선 등 수요산업이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현대제철의 실적도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는 분석이다.

다만 회사측은 "자동차·조선 등 수요산업이 불황"이라며 "다만 철강재 가격 상승과 건설수요 호조에 따른 봉형강류 판매 증가, 내진용강재·초고장력강판 등 고부가 전략제품은 판매가 확대됐다"면서 "제선원료 구매비용 및 물류비 저감 등을 통해 1365억 원에 달하는 원가절감에도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현대제철은 실적 개선을 위해 향후 신규시장 진입, 투자 및 연구개발 현황 등 향후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경영활동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고객 및 제품 다변화를 통한 미래경쟁력 확보를 위해 오는 2020년까지 글로벌 자동차업체 공급물량을 100만톤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특수강 사업에서는 ISIR 소재승인을 대부분 완료하고 3분기 봉강제품을 시작으로 순차적인 양산체제에 돌입할 예정이다.

제품경쟁력 강화를 위한 하공정 투자도 순조롭게 진행돼 순천공장 No.3CGL은 7월 21일 현재 종합공정률 83.5%의 진척률을 보이고 있으며, 올 연말 시운전을 통해 2018년 1분기에 상업생산을 시작한다.

순천 단조공장은 형단조 1만톤 프레스가 최근 양산에 돌입한 가운데 자유단조 1만톤 프레스는 오는 9월 양산에 들어갈 예정이며 이를 통해 발전설비, 항공부품 등 고부가 단조품에 대한 개발을 본격화 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해외 고객사별 맞춤형 강종을 개발하고 각 분야별로 전문적 기술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글로벌 마케팅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철강시황의 침체 속에서도 제품별 시장대응을 강화하고 전략제품 판매를 확대한다는 경영전략이 양호한 실적으로 이어졌다”며 “앞으로도 차별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가겠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어떤 주담대 상품 금리가 가장 낮을까? ‘금융상품 한눈에’로 손쉽게 확인하자 [경제한줌]
  • 2025 수능 시험장 입실 전 체크리스트 [그래픽 스토리]
  • "최강야구 그 노래가 애니 OST?"…'어메이징 디지털 서커스'를 아시나요? [이슈크래커]
  • 삼성전자, 4년 5개월 만 최저가...‘5만 전자’ 위태
  • 고려아연, 유상증자 자진 철회…"신뢰 회복 위한 최선의 방안"
  • 재건축 추진만 28년째… 은마는 언제 달릴 수 있나
  • 법원, 이재명 ‘공직선거법 1심’ 선고 생중계 불허…“관련 법익 종합적 고려”
  • ‘음주 뺑소니’ 김호중 1심 징역 2년 6개월…“죄질 불량·무책임”
  • 오늘의 상승종목

  • 11.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8,865,000
    • +4.62%
    • 이더리움
    • 4,630,000
    • -0.71%
    • 비트코인 캐시
    • 612,500
    • -0.16%
    • 리플
    • 994
    • +0%
    • 솔라나
    • 301,500
    • +0.13%
    • 에이다
    • 832
    • +1.71%
    • 이오스
    • 786
    • +0%
    • 트론
    • 254
    • +0%
    • 스텔라루멘
    • 183
    • +3.9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3,050
    • +0.67%
    • 체인링크
    • 19,850
    • -0.7%
    • 샌드박스
    • 417
    • +0.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