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내 제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올해 2200개 이상(누적 5000개 이상) 중소ㆍ중견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한다. 또한, 기업 맞춤형 스마트공장이 구축될 수 있도록 관련 분야 15년 이상 경력 전문가(스마트공장 코디네이터)의 컨설팅도 제공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스마트공장 보급ㆍ확산 사업 계획을 확정ㆍ공고하고, 올해 사업을 본격 추진키로 했다.
여기에는 민관 합동으로 총 1108억 원(정부 905억 원, 민간 203억 원)이 투입된다.
특히, 올해는 그동안 보급한 개별구축형 방식 외에 △에너지신산업 기술을 적용해 생산성 개선과 에너지효율을 함께 달성하는 클린에너지 방식 △클라우드형 방식 등으로 보급방식이 다양화된다.
스마트공장 보급ㆍ확산 사업은 중소ㆍ중견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스마트 공장 구축을 희망하는 기업은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을 통해 신청절차를 밟으면 된다.
개별구축형의 경우 구축비용의 50%(기업당 최대 5000만원 한도)가, 클라우드형은 구축비용의 60%(기업당 최대 5500만원 한도)가 지원된다.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기업은 제품설계와 생산공정 개선 등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MES 등) 구축비용과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ㆍ제어기ㆍ센서 등의 구입을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정부는 기업 맞춤형 스마트공장이 구축될 수 있도록 관련분야 15년 이상 경력 전문가(스마트공장 코디네이터)의 컨설팅을 제공하기로 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지난해까지 스마트공장 보급ㆍ확산 사업의 지원을 받은 2800개 중소ㆍ중견기업은 스마트공장 구축에 따른 성과가 점차 가시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공장추진단이 지난해 12월 스마트공장 구축을 완료한 1861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스마트공장 구축 이후 기업의 생산성 개선(23%)은 물론, 불량률 감소(-46%), 원가 절감(-16%), 납기 단축(-34.6%)으로 경쟁력이 향상됐다.
실제로 2014년도 스마트공장 보급ㆍ확산 사업 참여 기업들의 매출ㆍ고용 등 경영실적을 분석한 결과 국내 제조업 매출이 부진하던 시기에 사업 참여기업의 매출은 2014년 -0.7%에서 2015년 5.3%로 플러스 전환됐다. 고용률도 제조업 평균(2015년 3.6%) 대비 높은 고용 증가세를 유지(2015년 6.0%)했다.
이에 따라 산업부는 올해 스마트공장 정책의 성과를 더욱 가속화하기 위해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ㆍ고도화, 국내 스마트공장 공급산업 경쟁력 강화를 중점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우선 연내 스마트공장 보급 목표를 5000개(누적)로 확대하는 한편, 뿌리산업 분야 대표 스마트공장(동양피스톤 반월ㆍ시화 공장) 선정에 이어 가시적인 구축효과가 큰 전자ㆍ전기분야에 대표 스마트공장을 1~2개 추가 선정키로 했다.
또한 이미 지원을 받아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기업에 총 172명의 전담 관리자(코디네이터)를 지정해 지속적인 유지보수, 향상(업그레이드)을 유도, 스마트공장 활용률을 높이고 고도화를 촉진할 계획이다.
미래 핵심 유망산업인 솔루션, 컨트롤러, 센서 등 스마트공장 공급산업 육성방안도 함께 추진한다.
먼저 올해 총 991억 원을 투자해 스마트공장 핵심 컨트롤러, 센서, 솔루션 등의 연구개발(R&D)를 집중 지원하고, 스마트공장 보급사업과 연계해 국산 컨트롤러와 센서 등의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한편, 기계거래소의 온라인 직거래장터 등과 연계해 스마트공장 구축으로 발생하는 유휴설비의 재활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글로벌 기업과 국내 기업간 공동 R&D, 표준 대응, 제3국 공동진출 지원을 통해 국내 공급기업의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날 황교안 대통령권한대행은 동양피스톤 반월ㆍ시화공장을 방문해 스마트공장 구축에 따른 성과를 확인하고, 업체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황 권한대행은 "경쟁국과의 기술격차 축소,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경쟁심화 등으로 국내 제조업이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며 국내 제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제조업 혁신 3.0정책과 스마트 공장 사업의 적극적 추진을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