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학계, 업계 전문가들이 확률형 아이템 이슈와 관련해 게임의 부정적 인식을 먼저 개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인식을 긍정적으로 만들고 다양한 논의를 진행해 이슈에 제대로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투데이는 6일 경기도 판교 한글과컴퓨터 빌딩에서 ‘확률형 아이템 규제… 제2의 셧다운제 되나’를 주제로 제4회 경제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정부와 학계, 업계 전문가들은 확률형 아이템 규제와 관련한 다양한 목소리를 듣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날 토론회는 이재홍 한국게임학회장(숭실대학교 교수)의 사회로 진행됐다. 패널로는 이정훈 게임물관리위원회 기준정비위원장, 위정현 콘텐츠경영연구소장, 최성희 문체부 게임산업과장이 토론자로 참석했다.
최성희 과장은 확률형 아이템 규제에 대해 공부하고 논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게임 산업이 10조 원 규모라고 하지만 문화적 영향력은 10조의 10배 이상이라고 생각한다”며 “업계에서는 콘텐츠가 어떤 식으로 사용되는지 관심을 덜 갖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확률형 아이템 이슈는 사용자들이 관심을 갖는 이슈고 입법화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많다”며 “게임 산업의 성장에 중요한 일인 만큼 업계에서 어떤 식으로 대응한 것인지 공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위정현 소장은 ‘게임은 공부에 방해된다’는 인식을 깨지 않으면 산업 발전은 없다고 일침을 가했다. 그러면서 게임업계가 게임과 관련한 사회적 비판에 문제의식이 없다며 비판했다. 그는 “게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바꾸지 못하면 게임업계가 제대로 성장할 수 없다”며 “학교내의 교실이 가장 먼저 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게임 중독과 과몰입은 있어서는 안되는 것”이라고 전제하면서도 “확률형 아이템 이슈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 게임업계는 또 한번 칼을 맞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정훈 위원장은 확률형 아이템 규제는 지금보다 획기적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 위원장은 “과거에는 정부보다 게임 사업자와 이용자 사이의 전쟁이었고, 유저는 배제돼온 것 같다”며 “이번 확률형 아이템 이슈를 계기로 이용자가 참여할 수 있는 자율규제 형태가 바람직한 모습”이라고 말했다. 이어 “법적 규제는 한 번 만들어지면 없애기 힘든 만큼 탄력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규제가 만들어져야 앞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