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건설현장 치안ㆍ안전 관리가 또 다시 도마에 올랐다. 6개월 사이에 한 국가에서만 현지주민들의 공사현장 난입 등으로 부상자까지 발생했다. 하지만 건설사들은 뚜렷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고, 정부 역시 손을 놓고 있어 해법 마련이 요구된다.
지난 9일(현지시간) 이라크 북부 쿠르드 자치지역에 있는 포스코건설의 카바트 중유발전소 건설 현장에서 현지 주민들 50여명이 침입해 난동을 부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 난동으로 한국인 직원의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경비원 4명이 부상을 당해 현재 치료 중에 있다.
이 사고는 발전소 사업 이권을 놓고 터키 하도급업체와 이 지역 업체 사이에 벌어진 충돌이 원인인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사 측은 외교부와 이라크 정부 간의 현장 안전강화 대책을 협의 중이라고 밝혔지만 일각에서는 안전사각지대에 놓인 해외건설현장의 치안ㆍ안전부실이 드러났다고 보고 있다.
이라크는 6개월 전에도 현지 주민들이 국내 건설사 공사현장을 침입해 난동을 부린 사례까 있다. 지난해 8월 이라크 남부 바스라주 항구도시 알파우 대우건설 사업장에서 발생한 이 사고에는 총기 난사로 주민 1명이 사망했다. 당시 주민 20여명은 채용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고, 일부는 사무소를 지키던 사설 경호업체의 총기까지 탈취했다.
불과 반년도 안되는 시간동안 2번이나 건설현장이 뚫린 것이다. 문제는 이처럼 내전 등 정세가 불안한 해외 현장에서의 안전ㆍ치안관리를 건설사가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점이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대다수 해외현장의 치안 관리는 외주로 현지 혹은 국내 보안업체를 고용해서 관리한다”고 말했다.
정작 정부는 사건사고를 관리하기에는 수가 많고 국가 및 지역별 특색이 다르기 때문에 일괄적인 관리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건설사 역시 해외공사현장 관련 사건ㆍ사고에 대해 노출을 꺼리다보니 관리가 쉽지 않다. 특히 최근 국내 건설사들이 신시장으로 개척하고 있는 개도국의 경우 공사여건이 열악해 여전히 국내 건설현장보다도 안전관리 수준이 낮다.
인도에서 공사를 진행중인 건설사 관계자는 “해외공사 현장에는 해당 건설사 직원보다는 현지주민이나 외주업체를 고용해서 건설을 진행하다보니 안전관리가 미흡하다”며 “안전모 착용 등 기본적인 관리지침 외에는 따로 (안전관리)지시를 내리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해외건설협회 관계자는 “현장의 프로세스에 따라 현장 내 사고는 건설사가 처리하기 때문에 협회나 국토부 등에 보고하지 않는다”며 “외부 사건사고 및 대형사고가 아닌 이상 보고되지 않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업계에서는 사전예방을 강화하고 현재 경비인력을 충원하는 등 대비에 나서고 있지만 비용 문제 등으로 무한정 늘리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김민형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예방 차원에서는 안전 및 치안 등의 문제는 현지와 소통을 넓히고 현지에 기여하는 업체라는 것을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며 “외국 정세가 험악해지는 만큼 글로벌 경비업체 활용과 사건 발생 시 보험 등을 통해서 리스크를 전가시키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