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활용되지 못했던 서울 준공업지역들이 미래 산업을 선도하고 일자리 창출을 견인하는 기회의 땅으로 재도약한다.
서울시는 준공업지역의 물리적, 산업적 특성을 고려해 △전략재생형 △산업재생형 △주거재생형 △산업단지 재생형등 4개 유형으로 활성화하는 내용의 '준공업지역 재생과 활성화 방안'을 13일 발표했다.
준공업지역은 준공업지역은 영등포구와 구로구, 성동구, 도봉구 등 총 7개 자치구로 서울시 토지의 3.3%를 차지하는 작은 공간이지만, 서울시 일자리의 10.3%, 특히 제조업(32.6%)과 첨단산업(30.4%)이 집적된 경제핵심지이다. 70년대 서울의 경제성장을 견인한 이 지역의 기존 산업은 강화하고, 문화 분야 등 신규산업을 유치해 제2의 도약을 이끈다는 계획이다.
서울시가 계획하는 4대 재생유형 중 전략재생형은 지역 발전을 견인할 복합거점으로 육성된다. 전체 연면적의 30% 이상에 전략유치시설을 확보하고, 용적률은 기존 400%에서 최대 480%까지 상향한다.
산업재생형은 공장 비율이 10% 이상인 산업 활성화와 주거환경 개선이 동시에 필요한 지역이다. 이에 서울시는 이곳의 정비 대상을 현재 1만㎡ 이상의 대규모 부지에서 3천㎡ 이상의 중소규모 부지까지 확대, 규모에 따라 차별화된 재생방식을 적용할 계획이다. 중소규모 부지는 용적률을 기존 250%에서 400%까지 완화하며 대규모 부지는 공장부지 비율에 따라 산업부지를 확보하고 그 외 잔여 부지는 공동주택 개발을 허용해 분리한다는 계획이다.
또 주거재생형의 경우 공장 비율이 10% 미만인 주거화 지역을 대상으로 하며 재개발, 재건축, 주거환경관리, 가로주택정비 사업 등을 적용한다. 역세권에 임대주택이나 기숙사를 짓는 경우 용적률을 기존 250%에서 400%까지 완화한다.
산업단지 재생형은 준공 40년이 경과한 G밸리와 온수산업단지 등이 대상이며, 단지별 특성에 따른 재생 가이드라인을 적용해 일자리 거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시는 이번 방안을 통해 4만6000개 일자리 창출은 물론 연면적 기준 약10만㎡ 임대산업시설 확보와 약2,700호의 청년주택 공급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시는 시민 대토론회와 관련 공무원 토론회 등을 거쳐 오는 12월 중 이를 확정하고, 도시계획조례 등 관련 법‧제도를 정비해 '16년부터 본격 시행할 방침이다.
류훈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준공업지역은 서울의 3.3%에 불과한 작은 지역이지만, 서울의 미래를 품고 있는 원석같은 존재”라며 “이번 방안이 준공업지역이 지역경제를 살리고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미래 서울의 다이아몬드로 연마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