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신한·하나 등 3대 금융지주 회장에 이어 조용병 신한은행장과 이광구 우리은행장도 연봉반납 행렬에 동참했다. 해당 계열사 임원들은 반납 수준을 두고 내부 조율을 진행 중이다.
이런 가운데 일부 금융사 임원들은 등 떠밀기 식 연봉반납 분위기에 불만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고임금 구조 개선 등 보다 근본적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 한 이같은 노력들이 단순 이벤트로 끝날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광구 우리은행장은 신규채용 확대를 위해 임금의 20%를 반납하기로 했다. 부행장과 자회사 사장들의 반납 비율은 10%로 결정됐다.
조용병 신한은행장 역시 한동우 그룹 회장과 동일한 30%의 임금을 반납하기로 했다. 카드·금융투자 등 계열사 사장단은 20%, 부행장, 부사장들은 10%로 정해졌다.
KB금융 계열사 대표이사와 전무급 이상의 임원진도 연봉 일부를 반납할 계획이다. 현재 30% 내에서 적용 범위와 수준을 검토하고 있으며 이번주 내 최종 결정된다. 하나금융 역시 계열사 대표이사와 전무급 이상 임원들이 10~20% 범위에서 연봉을 반납할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금융권 연봉반납 행렬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금융산업 고질병인 고임금·항아리형 인력 구조를 개선하지 않는 한 신규채용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란 설명이다.
금융연구원의 ‘금융인력 기초통계 분석 및 수급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 종사자들의 초임은 남자 5000만원, 여자 4500만원이다. 은행 직원 4명 가운데 1명은 1억원 이상의 연봉을 받고 있다. 이 때문에 판매관리비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62%에 달한다. 미국(46%) 등 선진국과 비교하면 훨씬 높다.
김우진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직급체계를 역량 중심으로 정비해야한다”며 “호봉제 중심의 임금체계를 연봉제 중심으로 개편해 비용을 통제하는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봉 반납이 ‘자발적’이 아닌 ‘피동적’으로 이뤄진 다는 것도 문제다.
취지는 좋았지만, 강압적 분위기로 변질되면서 선의(善意)가 훼손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A 지주사 한 임원은 “임종룡 금융위원장까지‘바람직한 결정’이라고 말한 상황에서 연봉반납을 안하겠다고 하면 비도덕적인 사람으로 몰리는 분위기”라며 “이번 연봉반납 행렬이 단순 이벤트로 끝나지 않기 위해선 고임금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고민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