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타결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될 경우 중국의 저가 공세와 일본의 기술력 탓에 국내 철강산업이 샌드위치 신세로 내몰릴 공산이 커지게 됐다.
특히 세계 1위의 철강생산 국가로 공급 과잉의 근원지인 중국이 FTA를 계기로 한국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철강 유통망으로 보폭을 넓히면 국내 시장을 더욱 빠르게 잠식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올해 1∼10월 우리나라의 철강재 수입량은 1천902만7000톤으로 작년 동기보다 18.7% 증가했다. 이중 중국산은 58.7%에 이르는 1117만5000톤으로 37.1% 급증했다.
중국산의 수입단가는 톤당 730달러로 전체 수입물량의 평균 단가 911달러를 크게 밑돈다. 국내 철강시장에서 중국산 점유율은 상반기 23.2%로, 연간 기준 25%를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중국의 철강 생산량은 한국의 11배에 이르는 7억8000톤으로 전 세계 생산량의 49.2%를 차지했다. 중국은 공급 과잉과 경제 성장세 둔화에 따른 채산성 악화를 막기 위해 구조조정을 하면서 수출 확대도 전망되고 있다.
특히 2015년까지 철강제품의 국산화율 90% 달성, 잘 부식되지 않는 선박용 특수강이나 차량·열차용 고강도 강판과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의 자급률 80% 달성 등 기술·제품 혁신을 병행하고 있다. 가격 경쟁력에 기술력까지 더해지면 중국 제품의 한국시장 잠식이 가속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중국이 한국산 철강제품에 물리는 관세는 3∼10%로, 이를 단계적으로 없애면 우리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지겠지만 중국 제품이 워낙 싸기 때문에 수출이 늘어날 여지는 크지 않은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1∼10월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물량은 8.9% 증가한 395만1000톤으로 중국산 수입량의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특히 중국이 철강산업 체질 강화에 성공하면 국내 업체와의 경쟁이 심화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