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물시계 존재 규명'
고려시대에도 물시계가 존재했다는 것을 서료를 통해 규명한 논문이 발표돼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물시계는 조선시대 자격루가 최초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지난 27일 전남대 인문대학 사학과 박사과정 중인 서금석씨는 조선 세종 당시 자격궁루가 만들어지기 이전까지 사용된 고려시대 물시계의 이름을 밝힌 논문을 발표했다.
서금석씨는 논문을 통해 "물시계 이름은 루상수"였다고 밝혔고 별칭으로 궁루, 금루, 은루 등으로도 불렸다고 전했다. 서씨는 논문을 통해 고려시대 물시계가 왕실을 비롯해 폭넓게 사용됐다고 밝혔지만 형태나 이름 등에 대한 사료가 거의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고려사에 대한 연구 작업 도중 당시 쓰였던 물시계를 언급한 자료를 확인했고 고려시대 물시계 이름도 확실히 규명했다"고 설명했다.
서씨의 논문은 고려시대 물시계 제작과 시간질서가 전통사회의 통치기제로 작용했음을 규명한 것으로 최근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지인 '한국사연구'에 게재됐다. 서씨는 "물시계가 단순히 시간만 알려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회를 규율하고 지배하는 통치수단으로 활용됐다는 점에서 그 이름을 명확히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고려시대에 이미 물시계가 존재했다는 사실을 접한 네티즌은 "고려 물시계 존재 규명, 이제 국사교과서가 바뀌어야 하는건가?" "고려 물시계 존재 규명, 해시계는 그럼 언제부터지?" "고려 물시계 존재 규명, 여튼 물시계를 발명한 것도 그럼 세종 때가 아니란거네" "고려 물시계 존재 규명, 박사과정인데 대단한 논문이다" 등과 같은 다양한 반응을 나타냈다.
'고려 물시계 존재 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