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7일 “가계부채가 소비를 제약하는 임계수준에 가까이 가고 있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기획재정부, 한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가계부채 증가의 문제로 소비와 성장 제약, 금융시스템 리스크 등 2가지를 꼽은 뒤 “금융시스템 리스크는 아직 높지 않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소비를 제약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우려 섞인 시각을 나타냈다. 이 총재는 “가계부채 증가율을 소득 증가율 이내로 억제하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며 “가계부채 관리에 철저한 노력을 기하지 못했다는 게 과거의 교훈”이라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최근 기준금리를 내린 이유에 대해서는 “금리 인하가 가계부채를 늘리는 쪽으로 작용하겠지만, 최근 경제상황에 비춰보면 일단 성장 모멘텀을 살리는 쪽의 효과가 더 크다”고 말했다.
또 올해 성장률이 3% 중반인 잠재성장률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 수준인 연 2.0%로 낮춘 것에 대해 “잠재성장률에 못 미친다고 말한 것은 지난 2년간 성장률이 그랬다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지난 2012년 경제성장률은 2.3%, 2013년은 3.0%로 집계됐다.
하지만 이 총재는 지난 4~6월에 올해 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 수준으로 전망됨에 따라 기준금리의 방향성은 ‘인상’에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경기에 대해서는 “완만한 회복세를 띠고 있지만 그 회복세가 미약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1%대로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미리 예단해서 말할 수 없다”고 답했다.
이 총재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향후 정책금리 인상과 관련해서는 “금리 인상이 급속히 이뤄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미 연준도 통화정책의) 정상화를 급속히 진행하면 그 영향이 워낙 크다는 점을 잘 알고 있는 만큼 점진적으로 예측가능한 방식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 연준의 금리·통화정책 결정 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오는 28∼29일(현지시간) 정례회의에서 양적완화 종료를 결정할 것으로 국제 금융시장은 보고 있다.
이 총재는 한국 경제를 둘러싼 디플레이션 우려에 대해서는 “디플레이션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경계하겠다”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