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G7 초청 전격 수용 까닭은..."글로벌 리더 그룹 참여 절호의 기회"

입력 2020-06-02 16:25 수정 2020-06-02 16: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청와대 "중국 반발하지 않을 것"...'균형 외교'로 미중 갈등 돌파 시도

(사진제공=청와대)
(사진제공=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G7 정상회의를 G11, 혹은 G12로 확대해 한국이 참여해 달라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제안을 전격 수용한 것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 낀 난처한 입장을 균형 외교로 돌파해 보겠다는 해법으로 풀이된다.

1일 밤 한미 정상 전화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G7이 낡은 체제로서 현재의 국제 정세를 반영하지 못한다. G11이나 G12 체제로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며 문 대통령의 의견을 물었다.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은 “G7 체제의 전환에 공감한다”며 “초청에 기꺼이 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미 간 정상통화는 미국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사실상 ‘미국 편인지 중국 편인지 선택하라’고 강요하는 발언이 나온 지 하루 만에 이뤄졌다. 짧은 시간 동안 청와대가 득실을 계산해 본 뒤 신속히 결론을 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중국의 불쾌감이 예상되는 사안임에도 문 대통령이 ‘적절한 조치’ ‘환영’ ‘기꺼이’ 등의 표현을 써가며 참여 의사를 분명히 밝힌 것은 한국이 글로벌 질서를 주도하는 위치에 서게 됨으로써 얻게 되는 유무형의 이익이 더 크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옵서버(observer) 형식이 아니라 정식멤버로 참여할 기회가 왔다는 점에서 최근 크게 높아진 국격과 전략적 위상을 한층 더 업그레이드할 기회로 봤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다만 중국과 러시아 등을 봉쇄하고 견제하려는 미국의 의도가 깔려 있는 제안인 만큼 이들을 달래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됐다. 특히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방한과 사드 철수 문제 등 여러 현안이 걸린 중국과의 관계는 큰 숙제가 될 전망이다.

문 대통령도 1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6차 비상경제회의에서 “더욱 심해지고 있는 자국 중심주의와 강대국 간 갈등도 우리 경제에 적지 않은 부담”이라고 말한 바 있다. 고조되고 있는 미-중 갈등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공개적으로 토로한 셈이다.

일단 청와대는 중국이 크게 반발하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정부 생각은 중국이 반발하지 않으리라는 것”이라면서 “문 대통령께서도 분명히 말씀하셨는데, G7 확대 형태로 회의가 개최되면 포스트 코로나의 이정표가 될 것이며, 적절한 시기에 대면회의가 이뤄진다면 세계가 정상적인 상황과 경제로 돌아간다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알림] 이투데이, '2024 CSR 영상공모전'... 27일까지 접수
  • 단독 네이버, ‘AI 헬스 비서’ 첫발 뗐다…예상 질병에 병원도 찾아준다
  • 주말 최대 100㎜ ‘강수’…국군의 날부터 기온 ‘뚝’ 떨어진다
  • "김 가루가 용변으로 둔갑했다" 교사 주장 반박한 유치원
  • 삼성전자, '갤럭시 S24 FE' 공개…내달 순차 출시
  • 홍명보 감독, 내주 두 번째 명단 발표서 '부상 우려' 손흥민 포함할까
  • 뉴진스 '최후통첩', 결국 파국으로…이제 남은 건 '계약해지'뿐? [이슈크래커]
  • '흑백요리사' 백수저X흑수저 식당 어디일까?…한눈에 보는 위치 총정리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9.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953,000
    • +2.49%
    • 이더리움
    • 3,515,000
    • +0.86%
    • 비트코인 캐시
    • 477,900
    • +3.15%
    • 리플
    • 779
    • -0.38%
    • 솔라나
    • 208,700
    • +3.78%
    • 에이다
    • 536
    • +2.1%
    • 이오스
    • 716
    • +0.28%
    • 트론
    • 204
    • +0.49%
    • 스텔라루멘
    • 131
    • +0.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9,950
    • +2.87%
    • 체인링크
    • 16,820
    • +3.51%
    • 샌드박스
    • 393
    • +4.24%
* 24시간 변동률 기준